서울시 행당동 버스폭발사고가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이 천연가스(CNG)버스가 대형 폭발참사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를 해온 것으로 알려져 예고된 참사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그동안 가스통의 구조적인 문제와 정기검사 기준부재 등으로 유사사고가 잇따랐음에도 정부와 업계가 사전대응에 소홀했다는 것이다.
특히 선진국 사례를 비롯해 국내 연구기관에서도 폭발사고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가스통을 버스 윗 공간에 설치해야한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국토부 등 정부가 이를 무시한 것으로 알려져 국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10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발생한 CNG버스 폭파사고는 모두 8건에 달한다. 지난 2005년 1월 전북 완주군에서 첫 발생한 이후 2007년 12월20일에는 경기 구리시 인창동 북부간선도로를 달리던 시내버스의 CNG 연료필터에서 가스가 누출돼 화재와 함께 CNG용기가 폭발했다. 이 버스는 9일 폭발한 버스와 같은 업체, 같은 종류다.
이들 사고의 공통점은 버스에 탑재돼 있는 7~8개의 CNG 용기 가운데 일부가 고압을 견디지 못해 폭발한 것이었다.
연이어 버스폭발사고가 발생하면서 전문가들은 가스통의 구조적임 결함과 함께 CNG 버스의 안전관리가 허술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하고 있다. 사고를 낸 용기가 모두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안전검사를 받은 것이어서 안전검사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실제로 2009년 일부 언론이 버스 안전검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일부 업체에서는 충전할 때 가스가 새는 것 같으면 주입구에 가스 누출 탐지기를 갖다 대보는 것이 안전관리의 전부였다.
버스에 한번 장착된 CNG 가스통의 경우 마모되거나 부식되더라도 안전점검 과정에서 일일이 확인하지 못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가스안전공사는 가스통 위치를 버스 윗 공간으로 옮겨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가스안전공사는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운행 중 각종 이물질이 용기에 들어붙어 일상점검 시 접근이 어렵고 가수누출 시 안전성, 검사 및 점검의 용이성, 부식방지 등 유지관리 측면에서 CNG 용기의 설치 위치를 객실 아래에서 루프(지붕) 위로 변경했을 때 이점이 많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5월 국토부 등 정부부처에서 CNG가스통을 버스 위로 올리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면서 추진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국토부 관계자는 "가스통을 위로 설치해야 더 안전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며 "앞으로는 그런(버스 위 공간에 가스통 설치)방향으로 가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CNG버스의 가스유출이나 폭발 위험성에 대비해 CNG용기를 버스 위에 놓도록 하고 있다. 이는 위로 떠오르는 가스의 특성을 감안한 것으로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