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 공식 출범한 한국형 헤지펀드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들의 참여 정도와 개인 투자자금의 흐름, 헤지펀드가 구사하는 전략의 다양성 등이 주요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자본시장연구원의 김종민 연구위원은 10일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인투자자보다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자의 참여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한국형 헤지펀드가 개인의 직접투자에 대해 최소투자한도 5억원이라는 높은 수준의 진입장벽을 구축했고, 이는 개인 고액자산가들의 위험회피 투자성향을 감안할때 상위 1% 내외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반면 김 연구위원은 재간접 헤지펀드에 1억원 이상을 투자할 수 있는 개인투자자는 순자산 기준 상위 5% 정도로 추정해 현 상황에서 개인투자자들이 직접투자보다 재간접 헤지펀드에 투자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국내 기관투자자 중 주요 연기금의 투자여력이 향후 3년~5년 사이 1.7조원에서 3.4조원으로 추정했다. 또한 해외 헤지펀드 시장의 성장 사례를 고려해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이 정상궤도에 진입했을때 3년후 시장 규모는 국내 펀드시장 순자산 규모의 약 2%에서 3% 내외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5.7조원에서 8.6조원 수준이다.
박 연구위원은 초기 시장 규모 전망을 통해 연기금과 같은 기관투자자의 헤지펀드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기존 금융상품으로부터의 자금이탈이 생각보다 클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연기금 이외의 다양한 기관투자자들의 참여가 헤지펀드 시장의 안정적인 정착에 필수적이라고 꼽았다.
이에 따라 운용사의 진입장벽이나 개인투자자의 투자금액 제한 등과 같은 면에서 규제완화 또는 재정비 필요성이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진단했다. 이 중에서도 헤지펀드 운용업자 인가조건을 완화하는, 특히 국내 운용업자의 진입장벽을 우선적으로 낮추는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연구위원은 “시장 초기에 진입장벽을 낮춘다고 해도 취약한 국내 수요기반과 헤지펀드 인프라를 감안하면 소규모 헤지펀드가 난립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시장 초기에 비슷한 투자전략을 사용하는 헤지펀드들만 존재할 경우 단기적으로 국내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진입장벽을 낮추는 제도 개선을 통해 시장경쟁을 유도하면 다양한 유형의 헤지펀드들이 등장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국내 자산운용업계의 인적·물적 자원의 혁신이 이뤄져 국내 금융시장의 체질 또한 강회되는 순기능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헤지펀드 시장이 조성된 이후 추가적인 헤지펀드 투자자층의 확대가 필요하다면, 기존 공모펀드 시장을 잠식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개인투자자의 직접투자 한도를 점진적으로 낮추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