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항암제에 내성이 발생해 암이 다시 진행되는 이유가 밝혀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KAIST(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교수팀이 어크(ERK) 신호전달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멕(MEK) 억제제의 내성과 원리를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어크는 세포의 증식과 생존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분자로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활성화 된다. 어크 신호전달경로에는 표적항암제인 멕 억제제가 효과적이다.
멕은 어크의 활성화를 담당하는 상위 신호전달 분자이며 비라프는 멕을 활성화시킨다. 그러나 멕 억제제를 써도 결국 내성이 발생해 암이 다시 진행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내성과 그 원리를 수학모형과 대규모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분 석하고 분자생물학실험과 바이오이미징 기술로 검증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멕 억제제를 사용하면 어크 신호전달이 줄어들지만 또 다른 신호전달경로(PI3K)가 활성화돼 멕 억제제의 효과가 반감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 이런 반응이 신호전달 물질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피드백으로 이뤄진 네트워크 구조에서 비롯됐음을 밝히고 그 원인이 되는 핵심 회로를 찾았다. 조광현 교수팀은 이 회로를 억제하는 약물과 멕 억제제를 병용하면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