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IT] 전문가들이 보는 '단말기 자급제ㆍMVNO'

입력 2012-05-14 15: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장 연착륙까지 시간 걸릴 것", "점유율 5~6%는 돼야 효과 있어"

전문가들과 업계 관계자들은 '단말기 자급제'와 'MVNO'에 대해 기존 이동통신 구조에서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것은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이 제도들이 본격 시행되고 시장에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변정욱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통신시장분석그룹장은 “단말기 자급제가 시행됐지만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만한 자급용 단말기들이 시장에 풀리려면 시간이 소요되고 효과도 서서히 나타날 것”이라면서 “포화된 통신시장에서 MVNO들이 획기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출시하려고 노력할 것이기 때문에 경쟁이 활발해지고 소비자들에게 선택권이 주어진 것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당장은 제도의 효과가 안 보일 수 있지만 시장의 구조 변화가 생기고 MVNO업체들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백준봉 KT경제경영연구소 팀장은 “이동통신 시장은 결국 단말기로 움직이는 시장”이라면서 “MVNO는 소규모이기 때문에 기존 이통 3사와의 협력 관계를 뚫고 나가기 힘든 구조였는데 단말기 자급제가 단말 장벽을 허물어주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해외에서는 MVNO 가입자가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대 인데 우리는 1% 수준”이라면서 “궁극적으로 5~6% 대까지는 가야 어느 정도 시장에 연착륙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동통신 3사가 기존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면 MVNO는 틈새시장을 공략하므로 시장 전체 파이를 키워주고 이통사가 보조금 마케팅 등 비용을 투자하기에 부담스러운 부분을 개척해 주기 때문에 이통사와 MVNO 모두 상호 이득이 될 수 있다고 백 팀장은 덧붙였다.

조준상 공공미디어연구소장은 “MVNO로 인해 이용자 입맛에 맞는 다양한 요금조합이 나오는 것은 바람직스럽다”면서 “무엇보다 가계 통신비를 절감해 줄 수 있는 핵심은 다양한 선불요금제를 출시해 소비자가 얼마나 사용했는지 단말기 액정에서 표시해 준다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MVNO업계 관계자들은 결국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여 줘야 함을 피력했다.

한 MVNO업계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망을 빌려주면서 사업자들에게 로밍서비스와 같은 그들의 부가서비스를 열어주는 등 적극적으로 움직여 준다면 제도가 빨리 정착될 수 있을 텐데 그러지 못해 아쉽다”면서 “올해 안에 사업성을 크게 보진 않고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과 브랜드 알리기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연임 성공…임기 3년
  • 대체 불가 '아이유', 그녀가 사는 국내 최고 분양가인 이곳은 [왁자집껄]
  • ‘우향우’ 할수록 뜬다...김문수·홍준표[범보수 잠룡 ‘찐윤’편①]
  • "도루묵은 묵이 아니야"…겨울에만 만나는 알찬 별미 [레저로그인]
  • "가족과 함께 골프장으로"…설 연휴 국내 골프 여행지 추천 '톱5'
  • 잠실역 초역세권에 5억 로또…잠실 르엘 [올해 서울 주요 분양단지 ③]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점차 좁혀지는 시가총액 차이
  • 항상 고민인 설 세뱃돈…얼마를 주고 언제까지 주는 게 적당할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951,000
    • -2.94%
    • 이더리움
    • 4,717,000
    • -5.62%
    • 비트코인 캐시
    • 633,500
    • -3.43%
    • 리플
    • 4,466
    • -4.74%
    • 솔라나
    • 347,900
    • -9.64%
    • 에이다
    • 1,390
    • -6.77%
    • 이오스
    • 1,131
    • -5.91%
    • 트론
    • 373
    • -1.32%
    • 스텔라루멘
    • 599
    • -6.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700
    • -6.85%
    • 체인링크
    • 35,470
    • -9.12%
    • 샌드박스
    • 775
    • -7.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