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재벌' 구글의 야욕...이통사업까지?

입력 2010-12-31 09:24 수정 2010-12-31 11: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드로이드·구글보이스 서비스로 종합 이동통신사업자 조건 갖춰

▲구글이 스마트폰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 인터넷 전화서비스 구글보이스 등을 개발하면서 이동통신사업까지 진출할 태세다. 사진은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구글의 본사.
'인터넷 공룡' 구글이 이동통신사업까지 석권할 태세다.

구글이 스마트폰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 무선인터넷 서비스, 인터넷 전화서비스인 구글보이스 등 이동통신사업자로서 필요한 조건들을 갖추기 시작했다고 최근 CNN머니는 보도했다.

특히 지난 2009년 5월 시장에 첫 선을 보인 구글보이스는 출시한 지 5개월만에 14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면서 업계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구글은 이동통신 사업진출을 위해 몇년 전부터 관련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았다.

지난 2008년 구글은 다양한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들이면서 궁극적으로 4세대(4G) 네트워크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도 시작할 계획이다. 구글은 지난해 2월 광섬유를 이용한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시험 운영한 뒤 이를 이용해 일반 인터넷보다 100배 빠른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미국 주요 거점도시 5만~50만명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안드로이드 개발로 이동통신 시장에서 상당한 입지를 굳혔다. 지난해 안드로이드를 OS로 장착한 휴대폰은 애플의 아이폰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안드로이드는 무료로 배포돼 누구나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어 구글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순식간에 석권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장착한 스마트폰의 검색트래픽을 높여 수익을 내고 있다.

올초 구글은 대만 휴대폰제조업체인 HTC와 손잡고 넥서스원 안드로이드폰을 직접 판매하기도 했다. 비록 판매량이 부진했지만 소매시장 진출에 필요한 경험을 쌓았다고 구글은 평가했다.

구글의 행보는 이동통신 사업진출에 필요한 충분한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고 CNN머니는 전했다.

스프린트에 네트워크 설비장치를 제공하는 퀀텀네트워크의 애리 졸단 최고경영자(CEO)는 "구글은 가능한 많은 사람들을 연결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면서도 "안드로이드에 대한 라이선스만으로 이같은 목표를 실현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구글이 이동통신 사업자로 변모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만 한다면 상당한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4대 금융, 2년 연속 비이자이익 10조 돌파 [脫뱅스터 금융지주]
  • 단독 'AI홈 생태계 확장' LG전자, ‘HS차세대플랫폼연구실’ 신설
  • 딥시크ㆍ트럼프 '딥쇼크' 넘어라…AI 대확장 나선 4대그룹
  •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 車 중견 3사, 내수 부진에 ‘똘똘한 한 대’로 돌파구 찾는다
  • ‘우리 화장품은 달라’…제약업계, K뷰티 사업 확대로 승승장구
  • [퀀텀시대] 파괴적 혁신…‘퀀텀 혁명’으로 달라질 세상은
  • '초대 챔피언' 팀 스프린트 금메달…김민선·이나현·김민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0 10: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959,000
    • -1.61%
    • 이더리움
    • 3,998,000
    • -2.3%
    • 비트코인 캐시
    • 494,200
    • -1.16%
    • 리플
    • 3,641
    • -3.34%
    • 솔라나
    • 308,400
    • -0.77%
    • 에이다
    • 1,041
    • -4.5%
    • 이오스
    • 918
    • -2.24%
    • 트론
    • 350
    • -1.96%
    • 스텔라루멘
    • 475
    • -7.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00
    • -3.01%
    • 체인링크
    • 27,770
    • -2.83%
    • 샌드박스
    • 570
    • -5.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