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선진국 대비 90% 수준 이상의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력을 확보해 1만개의 공장을 스마트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은 지난 3월부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스마트공장 로드맵 작성 협의회’를 구성해 기업 수요 조사 등을 통해 이같은 내용의 스마트공장 구축 로드맵 초안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관계자 의견수렴을 위해 서울 LW컨벤션에서 공청회도 개최했다.
스마트공장은 제조 공장에 첨단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자동화 비중을 높인 공장을 일컫는다. 산업부는 ‘제조업 혁신 3.0’의 일환으로 2020년까지 1만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센서, 사물인터넷(IoT) 등 국내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 수준은 해외 기술력 대비 70~80% 수준으로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캐드(CAD) 등 솔루션은 대부분 글로벌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산업부는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기술개발은 단계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1단계(2015~17년)는 스마트화 수준을 기초→중간 이상으로 향상하기 위한 기술 역량 강화에 나서고, 2단계(2018~2020년)에서는 기업기업간의 연계 운영이 가능한 고도화 수준의 융ㆍ복합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이렇게 매년 개발된 기술로 현장 적용한 모델 공장을 구축해 기술 개발 결과를 적극적으로 보급ㆍ확산 사업과 연계해 활용할 계획이다. 1단계 기술개발 결과는 기초→중간 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2단계는 중간→고도화 수준에 적용하게 된다.
특히 앞으로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스마트공장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최대 90%수준 이상으로 높높여 매년 6%이상으로 성장하는 세계 스마트공장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구상도 같고 있다.
한편 산업부는 이달말까지 온라인 의견수렴을 실시한 후, 접수된 의견을 반영해 다음달 중 로드맵을 확정, 연구 개발 사업 기획에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