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또다시 큰 지진 발생할 가능성 있다” 홍태경 연대 교수 지적

입력 2016-10-27 08: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학계에서 지난 9월12일 발생한 5.8 규모의 경주 지진 영향으로 또다른 지진이 찾아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6일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열린 ‘지진특별심포지엄 및 특별세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홍 교수는 "경주 지진의 진앙은 방사형 형태로 응력(힘)을 받는 부분과 받지 않는 부분이 피자조각 모양으로 번갈아 분포돼 있다"며 "이중 응력을 받는 부분이 2.5바(bar, 힘의 단위)정도의 힘을 받으면 다시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가 경주 지진의 재발 가능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속 붉게 표시된 부분이 경주 지진 이후 응력을 더 많이 받게 된 지역.(사진제공=기상청)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가 경주 지진의 재발 가능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속 붉게 표시된 부분이 경주 지진 이후 응력을 더 많이 받게 된 지역.(사진제공=기상청)

홍 교수는 경주 지진의 여진이 지금까지 500차례 이상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는 “한반도에는 많은 힘이 누적돼 있는데,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그간 알려진 양산단층이 아니라 우리가 모르는 숨겨져 있던, 혹은 새로 만들어진 단층으로 인한 지진일 가능성도 있다”며 새로운 단층에 의한 지진 발생설도 언급했다.

홍 교수는 후에 찾아올 가능성이 있는 지진에 대비한 연구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반도 지진은 깊은 땅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지표 쪽 단층 찾기가 어렵다”며 “30㎢ 지역에 지진계를 50~60개 설치해 작은 지진 흔적의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32,000
    • +0.85%
    • 이더리움
    • 2,757,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50,100
    • -1.94%
    • 리플
    • 3,086
    • -0.99%
    • 솔라나
    • 184,500
    • -1.81%
    • 에이다
    • 987
    • -1.4%
    • 이오스
    • 1,147
    • +13.56%
    • 트론
    • 352
    • +0.86%
    • 스텔라루멘
    • 393
    • -1.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490
    • -3.59%
    • 체인링크
    • 19,970
    • -2.16%
    • 샌드박스
    • 396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