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은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의 전망에 부합하는 결정이었다. 연준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당초 2차례로 제시했던 내년 기준금리 인상 전망을 3차례로 상향 수정해 제시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말처럼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결정이었다.
하지만 연준의 결정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고민은 더 깊어지게 됐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중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사상 최대폭으로 치솟은 가운데 국채 선물 거래가 중단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날 중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한때 22bp(1bp=0.01%P) 급등했다. 이는 사상 최대 상승폭이다. 중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3.4%까지 치솟으며 16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그만큼 국채 가격이 급락했다는 이야기다. 5년 만기 중국 국채 금리도 이날 12bp 상승했다. 장 초반 10년물과 5년물 국채 가격이 폭락하자 상하이증권거래소 측은 선물 거래를 중단했고, 인민은행이 약 220억 달러에 달하는 유동성을 단기 자금시장에 투입하고나서야 거래를 재개할 수 있었다. 사상 초유의 일이었다. 저성장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중국 경제가 미국 금리인상 여파에 대규모 자본유출을 겪게 될 것이란 투자자들의 공포가 채권 매도세로 이어졌다.
여기에 상품시장과 주식,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중국 성장세를 지탱했던 ‘돌려막기’식 차입구조가 붕괴될 것이라는 공포까지 겹치고 있다. 그동안 중국 정부는 성장률 6%를 유지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레버리지를 도입하는 동시에 자본유출 막기에 안간힘을 썼다. 루치르 샤르마 모건스탠리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중국 정부가 1달러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위해 4달러의 부채를 동원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샤르마 전략가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게 되면 최대 피해자는 중국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이미 버블 현상이 중국 상품시장은 물론 주식과 부동산 등 금융시장 전반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 긴축 행보가 본격화되면 이러한 버블에 기댄 성장률은 꺼질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지난 5년간 중국 경제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자본유출 규모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국제금융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순자본 유출은 지난 10월 420억 달러에서 11월엔 1150억 달러로 두배 넘게 늘었다.
미국 대선 이후 시작된 달러 강세로 점점 거세지는 위안화 하락 압력도 중국으로선 골칫거리다. 전날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8년 반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센터는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을 전날보다 0.38% 올린 달러당 6.9289위안으로 고시했다.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지난 10월 이후 4% 하락했다. 반면 달러 값은 이날 14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블랙록의 릭 리더 글로벌 채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내년 1분기 3% 선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경우 미국 국채은 매력이 커지게 되고 중국의 대규모 자본 유출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