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급성장했다. 신협은 2011년 당시 예금 48조269억 원과 대출금 31조6634억 원 규모에서 지난해 말 기준 예금 81조3695억 원과 대출금 65조644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다만, 이 기간 예금이 68% 증가할 때 대출금은 107% 늘어났다. 예금 대비 대출금 비중 역시 2011년 말 65% 수준에서 지난해 80%로 증가했다.
풀뿌리 금융기관으로서 신협 대출은 곧 서민 가계와 직결된다. 경기 상승기에는 대출 확대가 외형 확장에 도움이 되지만, 경기 하락기와 맞물리면 위험으로 돌아올 수 있다. 실제로 일부 지방 신협은 지역 경기 하락과 맞물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0% 이상을 기록한 곳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과 맞물려 지역 경기 민감도가 큰 신협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50% 감소한 57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예금보험료(예보료) 인하분 환입 등 일시증가분 209억 원이 제외됐기 때문이지만, 이를 고려해도 감소 폭이 컸다.
또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상호금융조합 가운데 가장 높았다. 1분기 연체율은 2.89%로 지난해보다 0.76%포인트 증가했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0.21%p 오른 2.69%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신협의 경영성과는 별문제 없다”며 “2007년 공적자금 수혈 이후 매년 잘 해내고 있지만, 과거에 누적된 것(손실)을 회복하는 시간이 걸린다. 이를 올해 말까지 털어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협의 경영개선명령 역사는 2001년부터 시작된다. 당시 신협중앙회는 1200여 개 조합으로부터 약 5조 원의 예탁금을 운용했다. 하지만 당시 주식 투자손실 등으로 누적결손금 5200억 원이 발생했고, 5000억 원 규모의 자본잠식이 발생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협중앙회에 경영개선명령 조치를 내리고 수습에 나섰다. 또 중앙회의 방만 경영 문제가 불거지자 정부는 경영개선명령 조치와 별도로 중앙회 신용사업 폐지까지 검토하는 등 신협 체질 개선에 나섰다. 이후 금융당국은 2004년과 2007년 두 차례 경영개선명령을 내리는 등 구조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경영개선명령은 현재진행형으로 남았다.
3월 김윤식 신협중앙회장은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신협이 MOU 졸업을 위해 이행한) 과제 가운데 조금 미흡하더라도 (금융당국은) 추가 과제를 부여하고 나머지는 풀어주는 게 맞지 않느냐”며 “MOU 탈피가 안 되는 일은 생각하기 싫다”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