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의 혁신금융] 노점상도 ‘QR코드’ 결제…지갑 닫고 ‘페이시대’ 열다

입력 2020-01-03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하이, 한국보다 글로벌 모바일결제 5년 앞서

현금과 카드가 없는 중국. 알리페이 같은 모바일 페이 확산이 이미 전 지역으로 퍼져있다. 온라인 현금 결제 시스템이 잘 구축된 혁신국가로 통한다. 특히 금융의 중심지로 불리는 상해는 사실상 모든 결제가 페이로 이뤄진다고 해도 무방하다. 중국의 모바일결제는 우리나라 보다 5년 이상 앞서 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취재팀은 대표적인 페이업체 알리페이가 중국 상해와 항주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 모바일 결제 시장 상황도 함께 짚어본다.

“즈푸바오(支付寶·알리페이)? 흔하오(흔好·매우 좋다).”

알리페이만 있으면 현지 사정을 잘 모르는 관광객도 어디서든 대환영이다. 13세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불렸던 상하이. 미려항주(美麗杭州)로 불리는 아름다운 이 도시는 1990년대 중국 경제개발의 심장이 된다. 금융산업이 특히 발달한 이곳은 전 세계에서 모바일결제 시스템이 가장 잘 구축된 도시다. 상하이에서는 모든 결제가 모바일로 이뤄진다. 알리바바가 만든 알리페이와 텐센트의 위챗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니온페이가 BC카드와 손잡고 ‘페이북’을 통해 모바일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알리바바그룹이 2004년 론칭한 모바일 결제플랫폼 알리페이는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면서 1~2년 사이에 중국 전역으로 퍼졌다. 단순 결제를 벗어나 택시를 부르고 영화를 예매하는 등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도시 곳곳에 있는 공용자전거도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로 스캔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알리페이 사용자는 9억 명에 달한다. 지하철, 택시, 호텔, 시장까지 모바일 결제로 통하는 세상.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을 합친 이른바 ‘핀테크 (fintech)’ 혁신을 이끌고 있는 곳. 바로 상하이다. 시장에서는 한국이 모바일 결제 분야에서 중국에 5년 이상 뒤졌다고 입을 모은다. 카드가 주요 결제 수단인 국내 환경에서 어떤 식으로 결제시스템을 진화시켜 나갈지 중국에서 답을 찾는다.

▲기차 안에서 모바일 결제로 구입한 ‘도시락’.
▲기차 안에서 모바일 결제로 구입한 ‘도시락’.
◇ 지갑 대신 휴대폰만 들고 다니는 중국인… 백화점부터 노점상까지 ‘OK’ = 상하이의 쇼핑과 소비 핵심 지역 황푸구, 물건을 사고 결제하는 쇼핑객들의 손에 지갑 대신 휴대폰이 들려 있다. 중국에서 취재팀이 만난 현지인 모두는 스마트폰 바코드로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를 이용했다. 현금이나 카드를 쓰는 사람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국내에서도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처럼 모바일을 통한 결제 방식이 늘고 있다. 얼마 전에는 서울시가 결제 서비스를 다양화하겠다며 QR 방식의 모바일 결제 플랫폼 ‘서울페이’를 내놓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국내는 현금과 카드가 주 결제 방식이다.

중국의 모바일 결제는 남녀노소를 불문한다. 거리에서 만난 대학생 양나는 “알리페이로 뭐든지 결제한다. 현금을 아예 가지고 다니지 않아서 지갑을 따로 들고 나가는 일이 없다”면서 “휴대폰 하나면 모든 결제가 가능해 외출할 때 지갑이나 가방 없이 간편하게 나갈 수 있다”고 했다. 나이가 지긋한 홍제, 징징 부부도 취재진에게 외출할 때 이것만 들고 나온다며 휴대폰을 보여줬다. 홍제는 “우리 부부의 경우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를 함께 이용한다”며 “할인율이 다르거나 쿠폰이 지급되는 등 각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 다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 인근 시장에서도 모바일 결제가 이뤄진다.
▲상하이 인근 시장에서도 모바일 결제가 이뤄진다.
황푸구 쇼핑거리 명물인 지오다노 매장에 들어갔다. 복층으로 된, 규모가 큰 매장으로 손꼽힌다. 계산대 앞에 알리페이, 위챗 등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다는 안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모바일 결제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내 휴대폰에 결제 QR 바코드를 매장 포스에서 스캔해 계산하는 방식과 매장에 있는 QR 코드를 내 휴대폰으로 스캔해 결제하는 식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업체 규모에 따라 결제 방식이 달랐는데 요새는 모두 가능하다.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결제 방법이 모두 가능해진 것이다.

현지 지오다노 직원은 “거의 모든 고객들이 모바일 결제를 통해 계산한다”며 “매장 입장에선 거스름돈을 따로 준비하지 않아서 결제 시간이 빠르고 계산을 실수하는 일이 없어 편리하다”고 했다.

노점상도 모바일 결제가 가능할까. 카드를 내밀자 상인의 표정이 어두워졌다. 양팔로 엑스(X) 자를 그려 보이기도 했다. 우리는 환전해 간 지폐로 계산을 시도했다. 이번에도 손사래를 쳤다. 잔돈이 없어 현금을 받을 수 없다는 표시였다. 우리가 알리페이를 내밀자 금새 표정이 풀렸다. 외국인이 알리페이 결제를 다했다며 덤으로 물건을 봉지 안에 넣어주는 친절까지 베풀어 주었다. 인근 재래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알리페이가 운영하는 공용자전거. QR코드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알리페이가 운영하는 공용자전거. QR코드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 관광객도 쓸 수 있는 ‘알리페이’… 중국 더 쉬워진다 = 중국은 여행 전 비자가 필요하다. 단체 여행이 아니면 비자 발급도 꽤 까다롭다. 국내와 달리 카드나 현금 결제가 안 되는 곳이 많다. 아무리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잘 갖춘 곳이라고 해도 관광객이 사용하기에 진입장벽은 높다. 알리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국 계좌가 있어야 했다. 넘어야 할 장벽은 또 있다. 계좌 개설을 위해서는 중국에서 사용 가능한 핸드폰이 필요하다. 알리페이를 운영하고 있는 앤트파이낸셜(알리바바 금융자회사)이 지난해 11월 ‘투어패스’를 만들면서 관광객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은행의 계좌 등록 방식을 비자, 마스터, JCB, 다이너스클럽 등의 국내 신용카드(international)로 결제하고, 상하이은행 선불 충전카드를 구매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현지 결제 시연 장면.
▲현지 결제 시연 장면.
취재팀도 알리페이 투어패스를 활용해 모든 중국 내 지출을 모바일 결제를 사용했다. 충전한 금액의 유효 기간은 90일이며 쓰고 남은 잔액은 카드를 해지하면 자동으로 환급된다. 앱스토어를 통해 알리페이 앱을 내려받은 뒤 한국 휴대폰 번호로 계정 등록한 뒤 투어패스 프로그램을 받으면 된다. 충전 금액 설정(1회 한도 최대 2000위안, 한화 약 33만 원)과 여권 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끝이다. 관광객들까지 알리페이를 사용하게 되면서 알리페이 이용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 것으로 보인다. 알리페이는 국내 가맹점도 빠르게 늘리고 있다. 대형 체인점 위주로 사용처를 늘리고 있다. 전 세계인을 상대로 핀테크 기술을 과시하고 있다.

홍응기 우리은행 상해 분행장은 “중국은 이미 수년 전부터 가방에 현금 대신 충전기를 갖고 다닌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며 “휴대폰으로 모든 결제를 하다 보니 그만큼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사회주의라는 것이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확장될 수 있었던 강력한 추진력으로 작용한 것 같다”며 “우리 나라의 경우 어떤 사업을 하려고 하면 가맹점 수수료, 벤더, 카드업계 종사자 등 걱정할 게 많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기도 품절이라고요?"…Z세대 '뷰티 방앗간' 된 다이소, 다음 대란템은? [솔드아웃]
  • ‘슈팅스타’ 오늘 첫 방송…‘큰 산’ 최강야구 넘을까? [해시태그]
  • 우리은행장 교체 수순…차기 행장 후보 내주 윤곽 나올 듯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게임 후보 6선…각 작품 경쟁력은? [딥인더게임]
  • "동덕여대 손해배상 상대 특정 어려워…소송 쉽지 않을 것"
  • 트럼프 등에 업은 머스크, 베이조스 겨냥…“그는 트럼프 패배 원했다”
  • 이재명, 또 입단속…“거친 언행 주의해달라”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67,000
    • -1.14%
    • 이더리움
    • 4,634,000
    • -1.99%
    • 비트코인 캐시
    • 738,000
    • +6.8%
    • 리플
    • 2,114
    • +8.47%
    • 솔라나
    • 362,200
    • -0.49%
    • 에이다
    • 1,489
    • +19.6%
    • 이오스
    • 1,055
    • +9.55%
    • 트론
    • 287
    • +2.14%
    • 스텔라루멘
    • 581
    • +45.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600
    • +3.8%
    • 체인링크
    • 23,170
    • +8.58%
    • 샌드박스
    • 528
    • +5.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