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정부가 24일(화) 대통령 주재 제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제시할 금융시장 안정 대책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채권시장안정펀드와 증권시장안정펀드 조성 등 시장 안정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일시적 자금난을 겪는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몰리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고, 증권시장안정펀드는 증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금융권이 공동 출자하는 형태로 조성된다. 출자기관의 참여 여부 및 규모 등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세부조율이 더 필요하지만, 일단 규모와 시행 시기를 발표할 예정이다.
외국에서도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각종 부양대책이 이어진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1조 달러 규모의 긴급 예산을 편성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의회 절차가 진행될 전망이다. 5000억 달러 규모의 직접적 현금 지급이 핵심이다. 또 항공과 호텔, 레저, 소매업 등 코로나19로 피해가 심각한 업종에 대한 지원이 중점적으로 이뤄진다. 백악관은 부양책이 23일(월·현지시간) 의회를 통과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지만, 민주당과의 협상이 순조롭지 못하면 불안감이 증폭될 수 있다.
또 7500억 유로(약 1000조 원) 규모의 긴급 채권매입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한 유럽중앙은행(ECB)이 26일(목·현지시간) 통화정책회의에서 어떤 추가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ECB가 지난주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한 이후에도 유럽 증시는 곤두박질쳐 기준금리 인하 등 새로운 대책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국내 경제일정으로는 24일(화) 2021년 예산안 편성지침 발표(기획재정부), 2019년 중 지적재산권 무역수지(잠정·한국은행), 25일(수) 1월 인구동향(통계청), 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2019년도 지급결제보고서, 26일(목) 2020년 3월 금융안정상황, 27일(금) 3월 소비자동향조사(이상 한은) 등이 예정돼 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달보다 7.3포인트 급락한 96.9를 나타냈다. 낙폭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유행한 2015년 6월과 같았다.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지난달 하순부터 급증한 점을 고려하면 3월 중 소비자심리지수 추가 급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외국 경제지표 발표로는 26일(목·현지시간) 나오는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주목된다. 실업보험 청구자는 최근까지 상당 기간 20만 명대에 머물렀지만, 골드만삭스는 이번 주 수치가 225만 명으로 폭증할 수 있다고 봤다. 각종 사업장 폐쇄 등으로 대량 실업 사태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전망치는 87만5000명 수준이다. 지표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현실로 확인되면, 투자 심리가 더욱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이밖에 미국 정보제공업체 IHS마킷이 24일(화·현지시간) 발표하는 3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비롯해 일본과 독일, 유로존 등의 3월 제조업 PMI도 나올 예정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각국의 제조업 체감경기가 얼마나 하락할지 엿볼 수 있다.
정리=홍석동 기자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