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과 로스앤젤레스(LA)를 차례로 방문하는 이 기간 동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을 한다. 박 대통령은 이로써 글로벌 외교무대에 처음으로 신고식을 치르게 된다.
하지만 첫 공식무대치고는 그 무게감은 남다르다. 올해는 한·미 동맹 60주년을 맞는 해이다. 게다가 갈수록 고조되는 한반도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북핵문제 해법 등 논의해야 할 현안도 쉽지 만은 않은 것들이다.
사상 최대규모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하는 만큼 세일즈 외교를 통한 경제적 성과는 기대할만 하다. ‘공식실무방문’의 성격으로 격식은 낮췄지만 현안 논의에 집중, 돌아오는 길 보따리는 가득 채운다는 구상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미국으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기내에서 공식 수행원들과 기내 간담회를 열고 “방미에 수행한 중견·중소기업들의 비즈니스가 다들 잘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그전에는 경제인 수행이라 하더라도 대기업 회장 중심으로 갔는데 이번에는 중견·중소 기업이 많이 가게돼 그 부분에 대해 다들 고마워하고 사기도 많이 올라가 있다”라고 말하데 따른 화답이다. 이번 방미 수행단 중 중견·중소기업인 대표는 20명에 달한다.
이번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은 경제외교로서의 의미가 크다. 역대 최대 규모의 이번 방미 경제수행단은 삼성·현대차·LG 등 굴지의 글로벌 기업 총수를 포함해 52명의 기업인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이들 사절단은 ‘바이 코리아’의 선두에 서서 최근 북핵 리스크를 상쇄할 ‘국가경제 IR’ 역할을 톡톡히 할 예정이다.
조원동 경제수석은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 한반도에 북한 문제 때문에 불확실성이 많았던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실세들이 총동원돼 한국경제를 알리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핵심 의제는 ‘북한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성공단 사태 등 북한 도발로 인한 일촉즉발의 상황에 놓인 한반도 위기에 대한 해법 논의가 무엇보다 시급하기 때문이다.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대북 공조방안이 제1의 의제라고 한다면 남북간 강대강 대치 국면을 대화와 화해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분수령이 될 수 있는 기대감도 적잖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한중간의 대북정책 협의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간 공조된 대북정책의 목소리가 나오고 미국이 북한과 대화하겠다는 뉘앙스를 보여주면 북한의 태도 역시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간 공조가 더욱 요원한 시점에 방미가 이뤄졌다는 점도 주목할만 하다. 양국은 올해 한미 동맹 60주년을 기념한 공동선언을 채택함으로써 한미 협력관계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하고 대북 공조체제를 재확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