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보호원 설립 방안 ‘이견’… 금융위 산하 vs 완전 독립

입력 2014-04-11 08: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소비자 보호를 전담하는 감독기구인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 문제를 두고 정부여당과 야당 측 방법론이 엇갈리고 있다. 금소원 설립을 위한 입법 작업이 4월 임시국회를 넘길 가능성이 커지면서, 오는 7월 금소원을 발족하려던 정부 계획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국회 정무위원회가 10일 개최한 ‘금융감독개편 및 금융소비자보호기구 설립 등 관련 법률 개정에 관한 공청회’에 나온 전문가들은 금소원 설립 필요성엔 대체로 공감했다. 다만 정부여당 측 전문가들은 금융위원회를 현재대로 존치시키고 금융감독원에서 소비자보호 기능 등을 떼내 금소원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 반면, 야당 측 전문가들은 금융위를 뜯어고치고 금소원을 완전히 독립된 조직으로 설립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여당 측 전문가들은 금융산업정책과 금융감독의 완전한 분리가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순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해 상충이 발생할 수 있는 관계이지만 (금융정책과 금융감독이) 완전히 분리, 독립된 관계는 생각하기 어렵다”면서 “금융감독을 통한 금융시장과 산업에 관한 정보의 확보 없이 실효성 있는 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불가능하므로 상호보완적 측면도 있다”고 했다.

장 민 금융연구원 연구조정실장도 “많은 부분에서 개별 정책들을 명확히 금융정책과 금융감독정책으로 구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금융정책과 금융감독정책의 분리는 정부 행정조직의 변화가 필요한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정부행정조직의 개편과제로 심도 있게 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반면 야당 측 윤석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금융산업정책과 금융감독의 분리 필요성을 제기했다.

윤 교수는 “그동안 금융위가 금융산업 육성이라는 임무에 압도돼 금융 소비자 보호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였던 것이 사실”이라며 “금융위에서 금융소비자 보호 관련 정책기능을 새로 출범하는 금융소비자보호기구에 넘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교수도 “금융산업정책과 금융감독정책을 분리해 금융산업정책은 정부가, 금융감독정책은 공적 민간기구가 담당해야 한다”면서 “금융감독정책과 금융감독집행은 통합해 일관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애플·MS·오픈AI에 영상 넘기는 구글…한국은 빠졌다 [유튜브 삼키는 AI 빅테크]
  • “서울은 성동구, 경기는 과천”…올해 아파트값 상승률 뜯어보니
  • 감형 위해 공범 ‘술술’…범죄자들의 대인관계란 [서초동 MSG]
  • [새 리더십 시대]신한 빼고 다 바꿨다…5대 은행장 키워드 '파격ㆍ영업통'
  • [날씨] "롱패딩 입으세요"…아침 최저 -12도 강추위
  • 김준호, 김지민에 눈물의 프러포즈…"마지막 사랑이 돼줘"
  • [뉴 AI 트렌드-에이전트] 가상자산, AI 에이전트로 진화하나
  • [르포]“모임의 즐거움, 카뱅과 함께” 한파에도 줄서는 팝업의 비밀은
  • 오늘의 상승종목

  • 12.23 11: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072,000
    • -2.34%
    • 이더리움
    • 4,954,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664,500
    • -3.06%
    • 리플
    • 3,265
    • -3.29%
    • 솔라나
    • 271,000
    • -1.7%
    • 에이다
    • 1,328
    • -2.06%
    • 이오스
    • 1,181
    • -0.92%
    • 트론
    • 369
    • -0.27%
    • 스텔라루멘
    • 533
    • +0.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200
    • -0.06%
    • 체인링크
    • 33,600
    • +0.21%
    • 샌드박스
    • 844
    • -0.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