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광고로 보는 경제] "하일, 히틀러!" 뜬금없이 이게 무슨…

입력 2019-03-22 14: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니, 이건...
▲아니, 이건...

이거 1996년경에 게재된 실제 광고다.

광고를 보자마자 두 손, 두 발 다 들고 말았다.

◇대체 왜 이런 콘셉트의 광고를?

일단 이 광고는 삐삐라는 상품을 다루고 있다.

삐삐는 10~20자 정도의 숫자 텍스트를 주고받는 무선호출기를 일컫는다. 숫자로 된 텍스트 메시지가 날아오면 ‘삐삐’ 소리가 나서 삐삐다. 발신은 전화로만 할 수 있고, 삐삐는 수신만 가능하다. 옛날엔 다 이런 것들 쓰고 살았다.

다들 보면 느끼시겠지만, 지금 삐삐가 문제가 아니다. 광고 속 여성 모델은 명백하게 히틀러의 코스튬플레이(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콧수염, 철십자 훈장. 빼도박도 할 수 없는 고퀄리티의 코스프레.
▲콧수염, 철십자 훈장. 빼도박도 할 수 없는 고퀄리티의 코스프레.

또 황당한 건, 쓸데없이 고증 퀄리티가 상당히 높다. 콧수염은 기본이고, 광고를 보는 이들이 혹여라도 나치가 아닌 다른 코스튬플레이라고 착오라도 하실까봐 나치의 상징 ‘철십자 훈장’까지도 완벽히 재현했다. 허, 나 참….

히틀러를 인용한 까닭은 이러하다. 무선통신기술 개발 초기엔 기술 수준이 낮아 숫자 몇 개 전송하는 ‘삐삐’가 터지는 데도 있고, 안 터지는 데도 있고 그랬다. 이 제조사는 자사의 삐삐가 ‘전국을 지배’할 정도의 수신감도를 가졌다고 홍보하는 중이다.

수신감도가 전국을 지배→지배하면 히틀러의 나치 독일→그래서 히틀러 코스프레…. 기적의 논리 전개다. 요즘 같은 시대에 이 광고가 게재됐다고 생각해보면… 아연실색할 일이다.

아니 애초에 히틀러 대신 이순신 장군이나 거북선을 빌렸어도 의미는 유사했을 것이다. 그런 광고가 실제로 있기도 하고. 무슨 생각으로 저랬던 걸까? 그냥 눈에 띄고 싶었던 걸까?

▲맥락은 다르지만 위인 이순신 장군을 등장시켰던 한국통신(현 KT)의 통신 서비스 '메가패스'의 광고. 이순신 장군을 다소 코믹한 이미지로 만든 광고다. 말 그대로 '유쾌'했기 때문에 여론의 지탄을 받지 않았다. (유튜브 캡처)
▲맥락은 다르지만 위인 이순신 장군을 등장시켰던 한국통신(현 KT)의 통신 서비스 '메가패스'의 광고. 이순신 장군을 다소 코믹한 이미지로 만든 광고다. 말 그대로 '유쾌'했기 때문에 여론의 지탄을 받지 않았다. (유튜브 캡처)

◇자주 범해지는 실수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무 생각이 없어서 그렇다.

나치 독일의 폭압에 의해 피해를 본 개인 혹은 민족이 참담한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정서적 공감.

심지어 우리나라 역시 2차 대전 무렵에 독일-일본-이탈리아의 추축국(樞軸國)에 대항한 연합국 진영에 속했다는 역사적 인식.

당사국인 독일이었다면 사회적 지탄에서 그치지 않고 현행법에 의거해 처벌될 수 있을만한 중죄로도 간주될 수 있다는 규범적 가치.

광고를 제작할 때 당연히 고려해야 할 요소들 중 그 어느 것에 대해서도 단 한 번도 진지한 고찰을 해 보지 않고 콘텐츠를 만들면 '이런 걸작'이 완성된다.

실은 별로 특이한 사례도 아니다. 2000년대 중반엔 이런 적도 있다.

옛 일본군의 위안부 운영을 콘셉트로 누드 화보를 찍었던 어느 배우가 있었다. 위안부는 한 국가의 공권력이 식민지 여성의 성을 짓밟은 전쟁범죄다. 이 한-일 양국 관계의 가장 민감한 ‘역린’‘성 상품화’ 콘텐츠로 재해석한 것이다.

위안부?→성적 유린?→성?→그럼 누드. 꼬리를 무는 연상을 하다 아무 생각 없이 대충 만들면 역시 이런 상품이 나온다. 예시가 둘 밖에 없어서 기사에 두 개만 언급한게 아니다. 이런 식의 잘못된 역사 인식에 기반한 광고는 이루 셀 수 없이 많아서, 기사의 여백이 부족해 두 개만 언급한 것이다.

어떻게 하면 이런 실수를 없앨 수 있을까? 어떤 저작물을 만들기 전에 요모조모로 생각을 많이 하면 된다. 생각해보고, 좀 아니다 싶으면 안 하면 된다. 그것만 지켜도 이런 저작물은 애초에 등장 자체를 할 수가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791,000
    • +3.23%
    • 이더리움
    • 4,688,000
    • +8.07%
    • 비트코인 캐시
    • 675,000
    • +8.87%
    • 리플
    • 1,579
    • +2.53%
    • 솔라나
    • 362,700
    • +9.94%
    • 에이다
    • 1,116
    • -3.46%
    • 이오스
    • 912
    • +3.52%
    • 트론
    • 281
    • +1.81%
    • 스텔라루멘
    • 334
    • -2.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400
    • -2.61%
    • 체인링크
    • 21,000
    • +2.99%
    • 샌드박스
    • 482
    • +2.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