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아베 '한국이 먼저 답 가져와라' 주장에 “늘 답변해왔다” 반박

입력 2019-07-22 11: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 오락가락 입장 양국 간 미래 협력 위해서라도 최소한 선 지켜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겸 자민당 총재가 21일(현지시간) 됴쿄의 자민당 본부에서 이날 참의원 선거에서 승리가 확정된 자민당 후보 이름 옆에 종이장미를 부착하고 있다.(도쿄/로이터연합뉴스 )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겸 자민당 총재가 21일(현지시간) 됴쿄의 자민당 본부에서 이날 참의원 선거에서 승리가 확정된 자민당 후보 이름 옆에 종이장미를 부착하고 있다.(도쿄/로이터연합뉴스 )
청와대는 22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전날 한일 관계 악화와 관련해 ‘한국이 청구권 협정 위반 상황에 대한 제대로 된 답변을 가져오지 않으면 건설적인 논의가 안 될 것‘이라고 밝힌 것에 대해 “늘 답변해왔다”고 반박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지금까지 한국정부가 제대로 된 답변을 안 했다는 이야기인지 묻고 싶다”며 “늘 답변해왔고 강제징용 문제, 대북밀반출 문제에 대해 (대북)제재위 검토를 받자라든지 강제징용은 대법 판결 등 근거로 분명 설명했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한일 관계가 과거와 미래 투트랙으로 나눠서 가자는 우리의 입장을 계속 말해 왔고 거기에 대한 입장엔 변함없다”며 “외교적 노력 해왔고 지금도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그는 “지금 수출규제 관련해서 안보문제라고 했다가 역사 문제라 했다가 다시 안보 문제라고 했다. 오늘 또 역사 이슈 언급하고 있는 건데, 결국은 한일 양국 간 미래 협력을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선을 지키며 최선의 노력하는 것이 한일 양국 국민을 위한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국내에서 압류한 미쓰비시 자산을 매각하는 등 후속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는 것과 정부가 외교적 노력의 일환으로 피해자들과 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피해자들의 동의, 국민적 수용성이 최우선 돼야 한다는 것은 변함없고 앞으로도 그 부분에 대해서만큼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왜냐하면 가장 중심에 있는 분들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대해 그분들이 어떤 새로운 방안들을 가졌는지, 우리 정부가 고민하는 것들을 함께 논의할지는 정확한 답을 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얘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42,000
    • +0.48%
    • 이더리움
    • 5,308,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23%
    • 리플
    • 724
    • -0.69%
    • 솔라나
    • 230,600
    • -1.45%
    • 에이다
    • 630
    • +0.16%
    • 이오스
    • 1,135
    • -0.26%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12%
    • 체인링크
    • 25,560
    • -1.96%
    • 샌드박스
    • 631
    • +3.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