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내년도 정부 R&D 예산안 현장 설명회 개최

입력 2019-10-16 14: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산·학·연 연구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2020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안 현장공감 종합설명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과기부는 이날 설명회에서 내년도 R&D예산안의 중점 투자방향, 주요 신규사업 등을 연구자들에게 설명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대응이 중점논의됐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R&D 예산이 내년도에 1조7248억 원으로 올해의 2배 이상 확대됐기 때문이다. 핵심 품목 기술자립화, 수입대체를 위한 성능평가 지원 등의 내년도 추진 방향을 중점 설명했다.

또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의 '국가R&D 혁신 가속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도 공개됐다. 혁신본부는 작년 7월에 수립한 '국가R&D 혁신방안'을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된 실적점검단을 통해 그간의 성과를 점검중이다. 혁신본부의 주요 정책과제를 도출해 역량을 집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먼저 국가과학기술혁신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수립하고, 공공연구기관 혁신, 지역R&D 및 중소기업 R&D 지원체계 개선 등 국가 R&D 성과 제고 및 효율화를 위한 범부처 종합·조정 기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성과 중심의 전략적 R&D 투자와 평가체계 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현장이 체감하는 R&D 제도·시스템 혁신을 가속화하는 한편, 과감한 목표에 도전하는 고위험·혁신형 연구지원과 성장동력 분야 정책 실행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지난 8월 발표된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에 따라 집중 투자되는 R&D 예산이 낭비되지 않고 긴요한 산업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성과와 집행실적을 철저히 점검·관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성수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내년도 R&D 예산 규모의 대폭 확대는 일본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 대응과 혁신성장 가속화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며 "연구자들이 역량을 결집하고 도전적·혁신적 연구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물을 보여줘야 할 때다"라고 당부했다.

앞으로 과기부는 총 2회의 종합설명회 개최 이후 주요 기술분야에 대한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매주 개최해 연구 현장과의 소통을 지속할 예정이다. 과기부는 이날 1차 설명회에 이어 오는 23일에 대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2차 설명회를 개최할 게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696,000
    • -0.7%
    • 이더리움
    • 2,622,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541,500
    • +2.56%
    • 리플
    • 3,161
    • -2.01%
    • 솔라나
    • 213,900
    • -2.37%
    • 에이다
    • 1,008
    • -0.4%
    • 이오스
    • 1,062
    • +8.26%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395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050
    • +2.66%
    • 체인링크
    • 21,020
    • -1.87%
    • 샌드박스
    • 432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