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이니마, 2조4000억 규모 오만 해수담수화 사업 본격화

입력 2022-06-27 16: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S건설의 자회사이자 세계적인 수처리 업체인 GS이니마가 예상 매출 2조4000억 원 규모의 오만 해수담수화 사업을 본격화한다. 세계 최대 해수담수화시장 중 하나인 중동에서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글로벌 수처리 업체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

GS건설은 오만 수전력조달청(Oman Power & Water Procurement Company)에서 발주한 바르카 5단계 민자 해수담수화프로젝트(IWP)의 사업비 조달을 위한 금융 약정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총투자비는 1억3000만 달러(1670억 원)로 투자비의 70%는 한국수출입은행의 직접대출과 보증 및 현지금융으로 마련한다. 투자비의 30%에 해당하는 자본금도 KEB하나은행과 브릿지 론(Bridge Loan) 약정을 통해 조달하게 된다.

이에 앞서 바르카 5단계 민자 IWP의 특수목적법인인 GS Inima Barka 5 Desalination Company SAOC와 GS Inima 바르카 EPC(설계·조달·시공) 수행법인 간의 EPC 계약을 체결했으며 3월 말 착공했다.

바르카 5단계 민자 IWP는 수도 무스카트에서 서쪽으로 약 60km 떨어진 곳으로 일 10만㎥ 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이 들어선다. GS이니마가 단독으로 EPC와 운영권 100%를 갖는다. 특히, 프로젝트는 시공 후 운영권을 갖는 BOO(Build-Own-Operate) 사업으로 GS이니마는 금융조달 및 시공과 함께 20년간 운영을 맡게 되며 예상 매출은 7000억 원에 이른다. 상업 운영은 2024년 2분기에 시작된다.

GS이니마는 이번 금융 협약을 완료하면서 총 2조4000억 원 규모의 오만 해수담수화 프로젝트가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GS이니마는 바르카 5단계에 이어 향후 알 구브라 3단계 사업도 예정돼 있다. 알 구브라 프로젝트는 수도 무스카트의 해변 지역으로 일 30만㎥ 규모의 RO(역삼투압) 방식의 해수담수화 플랜트로 하루 약 100만 명에게 상수도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20년간 예상 매출은 EPC 포함 약 1조7000억 원이다.

허윤홍 GS건설 신사업 부문 대표는 “오만 바르카 프로젝트를 본격화하며 중동 지역뿐 아니라 아시아 시장으로 그 기술력을 확대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수처리 사업은 GS건설의 미래 성장 동력이자 ESG 시대 대표적인 친환경 사업으로 이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00,000
    • +0.63%
    • 이더리움
    • 2,314,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490,500
    • +2.42%
    • 리플
    • 3,022
    • +0.47%
    • 솔라나
    • 201,800
    • +3.22%
    • 에이다
    • 909
    • +1.91%
    • 이오스
    • 896
    • -1.32%
    • 트론
    • 350
    • -1.96%
    • 스텔라루멘
    • 358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90
    • +0.66%
    • 체인링크
    • 18,560
    • +0.98%
    • 샌드박스
    • 381
    • +1.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