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서 ‘우크라 재건회의’ 열려...“우크라 재건 비용 약 972조 원”

입력 2022-07-05 08: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크라 총리, 우크라 복구 3단계 밝혀
“재건 자원은 러시아 압수 자산이어야”
EU “우크라 재건 플랫폼 만들어 지원할 것”

▲4일(현지시간)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회의(URC2022)에서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루가노/AP뉴시스
▲4일(현지시간)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회의(URC2022)에서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루가노/AP뉴시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침공으로 초토화된 자국을 재건하는 데 7500억 달러(약 971조6250억 원)가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4일(현지시간) 알자지라방송에 따르면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총리는 이날 스위스 루가노에서 이틀간 진행될 우크라이나 재건회의(URC2022)에 참석해 “우크라이나 재건 3단계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 7500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전 세계 38개국과 14개 국제기구 등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슈미할 총리는 “재건 비용의 핵심 자원은 전 세계에서 몰수한 러시아 정부나 올리가르히의 자산이어야 한다”며 압수 자산으로 충당할 수 있는 비용은 3000억~5000억 달러일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러시아의 공격으로 인한 직접적인 인프라 피해가 최소 10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며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급수 등 사람들의 생활에 가장 필요한 부문의 복구가 가장 먼저 이뤄져야 하고 다음으로 ‘빠른 복구’를 위한 임시 주택, 병원, 학교 등을 만들고 이후 장기적으로 나라를 바꿔야 한다”며 3단계 복구 계획을 언급했다.

슈미할 총리는 회의에서 3000명 이상의 정치인, 전문가들이 개발한 수 천 페이지의 우크라이나 복구 계획서 초안에 대해 말하기도 했다.

회의에 참석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EU 집행위원회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플랫폼을 조성하겠다”며 “플랫폼을 통해 우크라이나가 필요로 하는 사업과 조정, 필요한 자원 유입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는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에 62억 유로(약 8조4000억 원)를 재정적으로 지원했고, 추후 더 많은 액수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회의는 당초 우크라이나 개혁을 위해 마련된 자리였으나 전쟁 이후 재건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로 바뀌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에 월가 비관론 확산…증시 전망 줄줄이 하향
  • 한미 재무·통상장관, 이번주 美워싱턴서 '2+2 통상협의'
  • [종합] 한덕수, FT와 인터뷰서 “대선 출마 결정 아직…미국 관세에 맞대응 안 해”
  • 트럼프, 국세청 수장 인선에 베선트 ‘손’…백악관서 힘 빠지는 머스크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에 150원 오른다…대선 이후 인상 전망
  • “미쉐린 식당 모두 모였네”…백화점, 고급·차별화 F&B로 불황 타개
  • 심현섭, 오늘(20일) 장가가는 날…11살 연하 정영림과 결혼식 현장 공개
  • 16개월 아기부터 77세 어르신까지…123층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수직 질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33,000
    • -0.54%
    • 이더리움
    • 2,277,000
    • -2.36%
    • 비트코인 캐시
    • 486,500
    • +0.5%
    • 리플
    • 2,979
    • -0.96%
    • 솔라나
    • 197,400
    • -1.55%
    • 에이다
    • 891
    • -2.09%
    • 이오스
    • 943
    • +2.5%
    • 트론
    • 354
    • +1.14%
    • 스텔라루멘
    • 351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00
    • -0.75%
    • 체인링크
    • 19,150
    • +2.13%
    • 샌드박스
    • 386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