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영향 큰데…대책 못 세우는 기업들 [스페셜리포트]

입력 2023-06-26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3-06-25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올해 2월 1220원대까지 떨어졌던 원 달러 환율은 4월 중순 이후부터 꾸준히 오르다 지난달 1340원대까지 치솟았다. 고공 행진하던 환율은 다시 1286.61원(22일 기준)까지 급락하며 종잡을 수 없는 행보를 보인다. 금융권 전문가들조차도 환율 변동성엔 손사래를 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은 환율로 인한 손익을 예측할 수 없는 변수로 받아들인다.

◇1200~1400원대 등락에 어리둥절

원·달러 환율이 높으면 수출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생기고, 원자재를 수입가공해 내수 시장에 판매하는 기업엔 불리하게 작용한다.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런데 최근 환율 변동성은 이런 예측이나 흐름 파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1200원대 초반에서 1300원대 중반까지 변동 범위가 너무 넓어서다. 지난해 고점인 1400원 중반도 언제든지 오를 수 있을 거란 공포감도 여전히 남아있다.

예컨대 환율이 오르는 시점에 수출기업은 가격 경쟁력이 강화돼 판매량도 늘릴 수 있다. 게다가 계약 당시보다 대금 결제일의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대금의 원화 환전할 때 수익이 늘어나는 효과도 나타난다.

반대로 환율이 내리는 추세라면 가격경쟁력 하락과 최종 환전 원화 대금이 축소돼 실적에 직격탄을 맞는다.

원자재를 해외에서 수급해 가공·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수출 기업과 정반대의 상황에 놓인다. 환율이 오를 때는 원자재 대금 부담이 가중되고, 내릴 때는 원자재 단가를 낮춰 마진율을 높일 수 있다. 가격은 환율에 따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이익이 됐던 손실이 됐던 감내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환율이 오르면서 제조원가가 함께 올랐다는 중소·중견기업은 전체의 70%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득보다 실 많다”…키코 악몽에 금융 헤징 포비아

중소기업이 환율 헤징 전략을 세우지 않는 이유는 뾰족한 대책이 없기도 하고, 그런 상품이 나온다 해도 믿을 수 없기 때문이다.

많은 기업은 “키코 사태 이후 금융 헤징 상품의 가입을 고려한 적이 없다”고들 항변한다.

2006년부터 2008년 초 사이 많은 가입자를 유치했던 키코(KIKO)는 환율이 일정 범위에서 변동하면 미리 정한 환율에 외화를 팔 수 있는 파생금융 상품이었다.

환율이 일정 구간(약 900~1050원 사이) 내에서는 옵션 매입자인 중소기업이 수익을 얻고, 900원 이하 구간에 들어서면 옵션계약이 무효, 상단인 1050원 이상에서는 손실이 나는 구조였다.

환 헤지를 위해 수출 중소기업들이 대거 가입했다가, 2008년 외환위기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큰 피해를 봤다. 당시 피해기업은 사기상품을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지만, 대법원은 “설계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다”라며 사실상 은행 손을 들어줬다.

사실 금융상품으로 환헤지를 하려면 기업이 키코 상품의 설계와는 반대로 매도 포지션을 잡아 변동성이 커질 때를 대비해야 했고, 은행이 매수하는 식의 설계가 이뤄져야 했다. 실제로는 예기치 못한 환율변동 리스크를 은행으로부터 사 온 셈이 됐다.

이 사건 이후 중소기업들은 환헤지금융 상품에 대해 피하기 시작했다.

◇환율 급변에 수출기업 신용도까지 하락

극심한 환율 변동은 수출기업들의 신용도 하락까지 불러왔다. 은행들은 환율이 크게 움직이면서 환율 민감도가 높은 수출기업들의 대출을 축소했다. 건전성 악화를 우려해서인데, 시중은행 한 곳은 대출을 1년 연장할 경우 잔액 10% 이상을 갚는 의무상환비율을 신설했다.

한 대형 시중은행은 3월 ‘외화운전자금대출 의무상환비율’ 도입했다. 상환 비율은 1년 이내일 경우 여신잔액(한도거래의 경우 약정금액)의 10%, 6개월 이내는 5% 이상, 3개월은 5% 미만이다. 대상은 신용등급이 BB-이하인 중소법인이었다. 그중 총여신 합계액이 10억 원 초과하고 3년을 넘어선 기한연장(대환·재대출·재약정 포함) 이력이 있는 기업에 한한다.

BB- 신용등급은 통상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보통이나 경제여건, 경영환경 악화 시 부실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을 말한다. 다른 은행도 올해 초부터 기업 외화대출에 대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타강사 '삽자루' 우형철 씨 향년 59세로 사망
  • 하이브 "뉴진스 홀대? 사실무근…부모 앞세워 여론 호도하는 구태 멈춰야"
  • 단독 정부 지원받은 영화…청각장애인 위한 '한글자막' 제작 의무화
  • 변우석·장기용·주우재 모아놓은 ‘권문수 컬렉션’…홍석천 보석함급? [해시태그]
  • 승자독식 구도…계속되는 경영권 분쟁에 기업·주가 몸살
  • '살해 의대생' 신상도 싹 털렸다…부활한 '디지털 교도소', 우려 완전히 지웠나 [이슈크래커]
  • "중소 업체·지방사업장 다 떠내려간다"…건설업계 불만 고조[PF 연착륙 대책]
  • '최강야구' 유희관, 287일 만에 모교 상대로 등판…2022년 MVP 품격 보여줄까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962,000
    • +1.73%
    • 이더리움
    • 4,127,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17,000
    • +1.4%
    • 리플
    • 708
    • +0.14%
    • 솔라나
    • 207,300
    • +1.42%
    • 에이다
    • 617
    • -0.16%
    • 이오스
    • 1,088
    • -0.55%
    • 트론
    • 177
    • -1.12%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1.49%
    • 체인링크
    • 18,820
    • -1%
    • 샌드박스
    • 586
    • -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