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트랜지션’ 핵심 키워드 될 것
동참하지 않는 기업 도태될 수밖에
탄소중립 편익, 비용 능가하는 ‘골든크로스’ 40년 후 도래”
27일 본지는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의 연정인 연구위원에게 기후변화로 변화할 대한민국의 미래 경제상과 그 속에서 구사해야 할 기업 생존전략을 물었다.
‘그린 트랜지션’은 친환경 기술·설비·소재 등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연정인 연구위원은 이를 기후변화로 맞이할 미래 경제의 핵심 키워드로 제시했다. 그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거스를 수 없는 국제적 규범이 되면서 저탄소·녹색 운영 체제로의 전환 여부가 곧 기업을 존치의 기로에 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참하지 않는 기업은 외교적 페널티를 감내하다 끝내 도태될 거란 게 그의 주장이다.
연 연구위원은 “가령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살펴보자. 한 기업이 중간재를 해외에서 사서 철강 등 완제품을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사들인 중간재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리포트도 EU에 제출해야 한다”면서 “그런데 중간재 업체에서 협조를 안 하거나 못한다면 기업은 중간재 확보 루트를 다변화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즉 EU의 규제 자체는 철강 등 6개 품목을 수출하는 대기업에 포커스가 맞춰졌지만, 결국 대기업이 하청으로 끼고 있는 국내·외 중소기업들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40년 뒤 국내 경제는 또 한 번의 대전환기를 맞는다. 연 연구위원에 따르면 탄소중립 이행에 따른 ‘편익’이 ‘비용’을 능가하는 시기는 2063년에 도래한다. 손익분기점과 같은 개념인 이른바 ‘골든크로스(Golden Cross)’다. 저탄소 설비 도입 등 기업들이 그동안 ‘뿌린 씨앗’을 거둬들이는 때라고도 볼 수 있다.
연 연구위원은 노력 여하에 따라 그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중립 골든크로스를 앞당기기 위해선 기업들이 일종의 ‘감지능력(센싱, sensing)’을 길러야 한다”며 “기술 혁신 과정에서 미국 등 선진국의 뒤만 쫓는 이른바 ‘추격’ 단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골든크로스에 잘 도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 시점을 앞당겨야 한다”면서 “그러기 위해선 감지능력을 먼저 길러야 한다.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환경 변화를 먼저 감지하고 기회를 포착해 선제적으로 투자를 하고, 자원 배분이나 인력을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다만 “이러한 감지 능력을 통해 비즈니스 생태계를 우리에게 유리하게 조정을 해야 된다”면서 “그런데 우리나라는 그렇게 해온 경험이 없다. 정부나 미국·일본 기업들이 지금까지 그런 역할을 하고 우리는 주로 그 뒤를 따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