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하인리히 법칙', 그 너머

입력 2023-11-0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재 인구 밀집도 ‘심각’ 단계입니다. 즉시 현 지역을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지난달 25일 서울 광진구 건대맛의거리 입구에 있는 30㎡ 규모의 좁은 골목길에 150명의 시민이 몰리자 골목 곳곳에서 경고음이 울려 퍼졌다. 지능형 CC(폐쇄회로)TV는 인파밀집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서울시와 유관기관에 상황을 전파했고, 경찰과 소방이 긴급 출동하며 시민들이 골목길을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었다. 핼러윈을 앞두고 진행한 인파밀집 상황 훈련을 바라보며, 1년 전 이태원 참사가 떠올라 착잡함이 가시질 않았다.

멀게는 삼풍백화점 붕괴부터 지난해 이태원 참사까지 대형 사고는 아무런 전조 없이 발생하지 않았다. 삼풍백화점은 건물 균열로 인한 위험 징후에도 별다른 대책을 취하지 않아 붕괴됐고, 이태원 참사는 핼러윈을 기념해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을 예상했음에도 안전 대책을 소홀히 하면서 벌어졌다. 대형사고 발생 전에는 숱한 징후와 경미한 사고가 나타났을 것이라는 이른바 ‘하인리히의 법칙’이 지속해서 거론되는 이유다.

서울시는 올해 핼러윈부터 CCTV를 통해 인파 밀집도를 자동 감지하는 시스템을 16곳에서 운영하기로 했다. 평소 인파가 몰리는 홍대 레드로드, 건대입구역, 이태원, 익선동 등에서 인파 밀집 정도를 분류해 자치구, 경찰, 소방과 합동해 유기적으로 안전관리대책을 시행한다. 아울러 연말까지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71곳에 CCTV 909대를 설치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서울시를 비롯해 각 자치구에서도 인파 밀집과 관련한 철저한 대비를 하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현 대책이 이전보다 발전했다고 평하면서도, 대응책에만 머무르고 있어 예방 조치가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애초부터 보도의 유효 폭 확보, 상황 통제 인력 배치, 길의 동선 방식 조정 등을 통해 사고 예방 조치를 선제적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얘기다.

비단 인파 사고 뿐만이 아니다.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극한 호우, 폭염 등도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다. 앞으로도 예방부터 대응까지 철저한 사고 방지를 위한 대비책들이 지속돼야 한다. 하인리히 법칙 자체를 언급할 필요가 없도록.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로 주목…'지역사랑상품권', 인기 비결은? [이슈크래커]
  • '2024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놀이공원·페스티벌·박물관 이벤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금융권 PF 부실채권 1년 새 220% 폭증[부메랑된 부동산PF]
  • "하이브는 BTS 이용 증단하라"…단체 행동 나선 뿔난 아미 [포토로그]
  • "'밈코인 양성소'면 어때?" 잘나가는 솔라나 생태계…대중성·인프라 모두 잡는다 [블록렌즈]
  • 어린이날 연휴 날씨…야속한 비 예보
  • 2026학년도 대입 수시 비중 80%...“내신 비중↑, 정시 합격선 변동 생길수도”
  • 알몸김치·오줌맥주 이어 '수세미 월병' 유통…"중국산 먹거리 철저한 조사 필요"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032,000
    • -0.09%
    • 이더리움
    • 4,422,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54,500
    • -0.46%
    • 리플
    • 747
    • -1.06%
    • 솔라나
    • 205,700
    • -1.2%
    • 에이다
    • 647
    • -2.56%
    • 이오스
    • 1,157
    • -0.34%
    • 트론
    • 170
    • -1.73%
    • 스텔라루멘
    • 155
    • -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150
    • -1.46%
    • 체인링크
    • 20,190
    • -0.93%
    • 샌드박스
    • 636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