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OPEC+ 추가 감산 가능성에 상승…WTI 2.25%↑

입력 2023-11-21 07: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6일 정례회의서 추가 감산 여부 결정

▲7월 13일 미국 유타주 뒤센 남부 분지에서 펌프잭들이 석유를 추출하고 있다. 뒤센(미국)/AP연합뉴스
▲7월 13일 미국 유타주 뒤센 남부 분지에서 펌프잭들이 석유를 추출하고 있다. 뒤센(미국)/AP연합뉴스

국제유가가 20일(현지시간) 주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가능성에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71달러(2.25%) 오른 배럴당 77.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북해산 브렌트유 1월물 가격도 1.71달러(2.1%) 뛴 배럴당 82.32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협의체 ‘OPEC+’의 추가 감산 가능성이 유가를 끌어올렸다고 마켓워치는 분석했다. 이들 국가는 2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추가 감산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하루 100만 배럴의 감산을 내년까지 연장할 계획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필 플린 프라이스퓨처스그룹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현재 OPEC이 감산을 연장할 것이라는 전망은 거의 확실시되지만, 전 세계에 메시지를 보내고자 또 다른 상당한 감산을 단행할 수 있다는 추측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회원국들이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간의 전쟁에 불만을 품고 있을뿐더러 투기꾼들이 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호르헤 레온 라이스타드에너지 수석부사장은 “그들이 어떤 길을 선택하든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 결정이 궁극적으로 국제 유가의 단기적 미래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사우디아라비아는 공급을 제한함으로써 가격을 높게 유지하려는 욕구와 이 경우 전체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제금값은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의 중심인 12월 물 금은 전장 대비 4.4달러(0.2%) 내린 온스당 1980.3달러에 폐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의정갈등 물꼬 트나…임현택 의협 회장 압도적 찬성으로 ‘탄핵’
  • 단독 “투자금 못 낸다”...한강리버버스 사업서 발뺀 ‘이크루즈’
  • 백화점 달구는 애니메이션 팝업…아케인vs드래곤볼 한판 대결
  • 포항제철소서 큰 불, 3시간 만에 진화… 1명 부상 [종합]
  • '이강인 2골 1도움' PSG, 앙제에 4-2 승리…홈 팬들 물통 투척 '눈살'
  • 공모주 시장, 날씨보다 춥네…상장 첫날부터 주가 ‘곤두박질’
  • 네카오 실적 갈렸다...카카오 ‘먹구름’ vs 네이버 ‘창사 이래 최대’
  • 중간 성적 17%, 보수 심장에선 경고음...임기후반 ‘이것’에 달렸다[尹 임기반환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11.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0,443,000
    • +4.12%
    • 이더리움
    • 4,425,000
    • +3.68%
    • 비트코인 캐시
    • 614,500
    • +16.38%
    • 리플
    • 831
    • +8.63%
    • 솔라나
    • 288,900
    • +4.86%
    • 에이다
    • 864
    • +41.18%
    • 이오스
    • 828
    • +26.41%
    • 트론
    • 228
    • +2.24%
    • 스텔라루멘
    • 154
    • +1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250
    • +14.67%
    • 체인링크
    • 20,080
    • +6.3%
    • 샌드박스
    • 405
    • +10.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