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녹십자홀딩스(GC)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잇따라 발간하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ESG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도 ESG 경영에 힘쓰고 있다. 과거 타 산업 대비 ESG 경영 활동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지만,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서는 기업이 늘면서 ESG 경영이 중요한 경쟁력으로 자리를 잡았다.
미국·유럽 등 주요 국가들이 무역협정에서 ESG 경영 실사 의무화 규제를 추진하는 등 ESG를 각종 통상 정책에 반영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ESG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중 ESG 경영에 가장 앞선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다. 올해 5월 공개한 2024 ESG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보고서 가이드라인(GRI), 유럽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ESRS) 요구사항 등 글로벌 ESG 공시 트렌드를 반영한 게 특징이다. 글로벌 신규 ESG 공시지표, 고객사 요구사항, 글로벌 ESG 평가지표와 규제당국 현황 등의 내용을 올해 보고서에 추가해 평가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한 층 강화했다.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평소 업무(BAU) 대비 재생에너지(RE) 100 달성률 24.8%를 달성했다. BAU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인위적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예상되는 배출 온실가스 총량 추정치다. 2030년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사업장 및 공급망 전체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각 32%, 36% 감축하고 용수 재활용 및 재사용률도 20%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수자원, 폐기물, 오염물질, 생물 다양성 등 자연 자본(TNFD)에 기반한 자연 관련 영역별 중점 추진 과제와 전략을 수립했으며 중장기적인 안전경영과 보건경영 목표와 실행과제를 포함한 로드맵도 수립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 제약 업계 ESG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었다”며 “꾸준하고 투명한 ESG 경영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지난달 28일 ‘2024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웅제약의 ESG 전략은 ‘인류와 지구의 건강을 지키는 대웅제약’이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용기 단순화를 통해 전년 대비 약 1.7톤(t)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플라스틱 사용을 줄였고,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공장 내 모든 전등을 LED로 전환하는 등 다양한 설비를 개선했다. 이에 더해 대웅제약은 지속해서 관리 체계 효율화를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중장기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제약사 본질 업무인 좋은 품질의 의약품 공급을 기본으로, 매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해 대웅제약의 이해관계자들과 투명하게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GC도 지난달 28일 GC녹십자, GC셀 등 주요 계열사의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통합보고서인 ‘2024 GC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GC 및 계열사들은 주주가치를 높이고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했다. 특히 자산 규모가 2조 원을 넘어 대규모 법인 적용을 받는 GC녹십자는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사외이사 수를 이사 총수의 반수 이상으로 늘렸고, 여성 이사 선임도 의무화했다.
GC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도 보고서에 담았다. GC녹십자는 지난해 제약업계 최초로 SK E&S와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을 체결해 2026년부터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받기로 했다. GC 관계자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지속해서 소통하며 ESG 경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발표된 한국ESG기준원(KCGS)의 2023년 ESG 평가 및 등급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ESG 성적표는 전체 산업군 대비 다소 뒤처진다. 제약바이오기업 중 A+(매우 우수) 등급을 받은 건 삼성바이오로직스뿐이며 제약바이오기업 중 61.3%가 C(취약) 또는 D(매우 취약) 등급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