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김승연·윤석금 회장 운명 가른 ‘고무줄 배임죄’ - 장효진 산업부 기자

입력 2013-08-21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요즘 재계에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을 비교하는 얘기가 자주 들린다.

계열사 불법 지원 혐의로 현재 3심을 진행 중인 김 회장은 1·2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현재 김 회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구속집행이 정지된 상태다.

1심 재판부는 횡령은 무죄, 업무상 배임 혐의만 유죄로 인정했다. 2심 재판부는 이번 사건이 김 회장 개인 이득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참작해 형량을 징역 4년에서 3년으로 낮췄다. 특히 김 회장은 항소심이 진행 중이던 지난 4월 1186억원의 사재를 법원에 공탁하는 등 계열사들이 입은 피해를 복구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앞서 서울서부지검은 수사를 벌이던 2011년 초 법원에 김 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법원이 기각해 불구속 기소됐지만, 서부지검은 중대한 범죄 행위로 규정한 것이다.

반면, 이달 초 서울중앙지검은 수천억원대의 사기성 기업어음(CP) 발행 혐의를 받고 있는 윤 회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구속영장을 청구하지도 않았다. CP 사기 발행으로 피해액은 크지만 사익 편취가 아닌 회사의 빚을 갚으려는 의도였고, 계열사(서울상호저축은행) 불법 지원 역시 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였다는 정상을 참작했다. 또 윤 회장이 기업 정상화를 위해 2000억원의 개인 재산을 내놓은 점도 고려했다.

김 회장과 윤 회장의 범죄 혐의에는 공통점이 있다. 개인의 이득을 챙긴 게 아닌, 부실 계열사를 살리고,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경영상 어쩔 수 없는 판단을 내렸다는 것이다. 이들이 피해 기업의 손실을 만회하겠다며 사재를 출연한 것까지 비슷하다. 그러나 검찰 내에서조차 ‘경중(輕重)’에 관해 확연히 다른 판단을 내렸다. 같은 일을 한 두 명의 총수를 향한 여론도 ‘분노’와 ‘연민’으로 갈리는 순간이었다. ‘고무줄 배임죄’라는 법의 형평성 문제를 따져볼 수밖에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학생·취준생들도 돈 부담 없이 검진받아보자…‘청년 무료 국가건강검진’은? [경제한줌]
  • 삼성전자 이사회 반도체 전문가 3인 합류… 이재용은 불발
  • 단독 우리금융, 동양·ABL생명 인수 '청신호'…中 매각 승인 [보험산업 구조개혁 골든타임①]
  • "지지 않는 태양"…민효린의 남자, 그가 사는 '파르크한남'은 [왁자집껄]
  • “사전예약 30분 만에 완판?”…맘스터치 에드워드 리 버거 2종 [맛보니]
  • 너도나도 밈 코인 발행에…카지노로 전락한 가상자산 시장 [블록렌즈]
  • 이하늬 60억 냈는데…연예계 세무조사, '먼지 하나' 안 나온 사람은? [이슈크래커]
  • 미국ㆍ러시아, 사우디서 우크라 종전 협상 개시
  • 오늘의 상승종목

  • 02.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722,000
    • -1.81%
    • 이더리움
    • 3,962,000
    • -3.58%
    • 비트코인 캐시
    • 473,500
    • -2.45%
    • 리플
    • 3,779
    • -5.62%
    • 솔라나
    • 249,100
    • -6.98%
    • 에이다
    • 1,126
    • -7.55%
    • 이오스
    • 901
    • -5.65%
    • 트론
    • 354
    • -2.48%
    • 스텔라루멘
    • 481
    • -4.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50
    • -5.22%
    • 체인링크
    • 26,490
    • -7.96%
    • 샌드박스
    • 534
    • -9.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