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경신…1BTC 600만원 돌파

입력 2017-10-12 2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600만 원을 넘으며 사상최고치를 갈아치웠다.

12일 오후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601만 원에 거래됐다.

8일 연속 상승세를 타던 비트코인은 올 1월 121만6000원을 기록한 이후 열달만에 5배 올랐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거래소의 거래중단 악재로 조정기가 끝났고, 비트코인이 이달 25일과 다음달까지 최대 2회 무상 코인을 받을 거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비트코인 소유자들은 오는 25일 특정시점(미확정)에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을 때 새로 출범하는 '비트코인 골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7월 비트코인의 '세그윗' 업데이트와 '비트코인 캐시' 출범을 앞두고 비트코인은 1826달러(약 207만 원·비트피넥스 기준)까지 급락 후 업데이트와 분열 모두 순조롭게 이뤄지면서 사상최고치(4970달러)를 기록했다.

관계자들은 당시 불확실성에 따른 불안감으로 투매가 쏟아졌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비트코인 보유자들은 가치상승과 함께 비트코인 캐시라는 새 가상화폐를 무상지급 받아 적지않은 실익을 챙겼다.

비트코인 캐시는 초기 972달러(110만 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비트코인 분열로 부수적인 이익을 챙길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도리어 매수세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게다가 비트코인은 다음달 '비트코인 세그윗'과 '비트코인 세그윗2X' 두 가지 방식을 놓고 두 진영으로 나눠질 가능성도 남아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음달까지 최대 4개의 비트코인이 나올 수도 있다"며 "이로 인한 가격 급등락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국 투자업계 거물의 희망적인 전망도 한몫했다.

미국 헤지펀드 업계의 전설로 손꼽히는 마이클 노보그라츠(Michael Novogratz)가 6~10개월 내에 비트코인 가격이 1만 달러(약 1135만 원)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일각에선 중국 당대회가 이달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자국내 가상화폐 거래를 재개 시킬 가능성도 높은 것도 비트코인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멕시코 이어 캐나다 25% 관세도 한 달 유예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비트코인, 관세 유예 합의에 껑충…10만 달러 복귀 [Bit코인]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X 등 고객사 확보…“밀려드는 주문에 美 현지 증설”
  • 시즌 마지막 경기…'최강야구' 대학 올스타 잠실 직관전 결과는?
  • 오픈AI, 신규 상표 등록 신청…로봇ㆍ양자컴퓨터 포함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10: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8,251,000
    • +7.94%
    • 이더리움
    • 4,451,000
    • +6.13%
    • 비트코인 캐시
    • 550,500
    • +5.26%
    • 리플
    • 4,282
    • +22.94%
    • 솔라나
    • 340,600
    • +15.03%
    • 에이다
    • 1,269
    • +13.3%
    • 이오스
    • 1,007
    • +10.3%
    • 트론
    • 357
    • +5.93%
    • 스텔라루멘
    • 581
    • +16.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500
    • +14.12%
    • 체인링크
    • 33,250
    • +13.44%
    • 샌드박스
    • 671
    • +15.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