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윤석열 당선인 '주말 회동' 성사될까

입력 2022-03-18 14: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 대통령 "문 열려있다"...윤 당선인 18일 주요 현안 마무리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점심식사를 위해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김은혜 대변인과 함께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식당으로 향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점심식사를 위해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김은혜 대변인과 함께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식당으로 향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이번 주로 예정됐던 첫 회동이 무산된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간의 만남이 다시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의 문은 늘 열려있다"며 회동 의지를 재확인했기 때문이다. 양측은 이명박(MB) 전 대통령 특별사면과 공공기관 인사권 등을 놓고 충돌하며 16일로 예정됐던 오찬 회동을 4시간 앞두고 전격 취소를 발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빠른 시일 내에 격의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

아울러 "당선인 측의 공약이나 국정운영방안에 대해 개별적 의사표현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전날 윤 당선인의 청와대 이전 계획에 대해 일제시대에 비유하고 "안 쓸 거면 우리가 쓰면 안되냐"고 말해 논란이 커진 것에 대한 질책과 경고의 의미로 읽힌다.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도 청와대 직원들에게 당선인 측 공약이나 정책,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SNS 혹은 언론을 통해 개인적 의견을 언급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히면서 윤 당선인측도 일정 조율을 서두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주말 양측이 전격 회동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회동 없이 대치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록 양측 모두 정치적 부담을 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주말을 넘어가면 현직 대통령과 당선자간 회동에 걸린 시간이 기존 최장 기간인 9일을 넘어 기록 갱신 행진이 시작된다. 이 경우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정부 이양에 협조하지 않고 버티는 '진상' 비춰질 우려가 있다. 윤 당선인 입장에서도 아직 임기가 남은 대통령을 존중하지 않는 '점령군' 이미지가 강화될 수 있다.

양측이 협상 의지를 가진데다 문 대통령이 '빠른 시일내'를 주문한 만큼 실무협의를 맡은 이철희 대통령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자 비서실장의 조율이 속도를 낼 가능성이 있다.

윤 당선인의 빡빡한 일정이 18일 이후에는 다소 숨통을 튼다는 점도 주말회동이 점쳐지는 이유다. 윤 당선인측은 지난 17일까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인선작업에 매진한데 이어 18일에는 인수위 현판식, 집무실 후보지 현장 답사 등 숨가쁜 일정을 이어가고 있다. 대형 현안들이 가닥을 잡은 뒤인 주말에나 여유가 생기는 셈이다.

다만 윤 당선자측이 상견례 보다는 실무적 회담 성격의 만남을 원하고 있다는 점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무슨 조율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는 의제 설정을 원하는 윤 당선인측과 달리 주제 없는 대화를 원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조율이 필요없다'는 말의 의미가 실무협의와 상관없이 만나자는 것인지, 아니면 실무협의를 빨리 해달라는 취지인지에 대해 "양쪽 다 해당될 것 같다"고 말했다.

회동의 조기 성사여부는 이제 윤 당선자의 결심에 달렸다는 말도 나온다. 문 대통령이 실무협의와 무관하게 언제든 만나자는 의사를 밝히며 공을 넘긴 만큼 이를 수용할지 여부는 윤 당선자의 몫이 됐다는 의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78,000
    • +0.12%
    • 이더리움
    • 5,323,000
    • +0.76%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1.33%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2,500
    • -0.43%
    • 에이다
    • 633
    • +1.28%
    • 이오스
    • 1,138
    • +0.35%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81%
    • 체인링크
    • 25,800
    • +0.7%
    • 샌드박스
    • 629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