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강퉁(深港通) 시행은 중국 자본시장의 법제화ㆍ시장화ㆍ국제화의 상징입니다.”
중국 리커창(李克强) 총리의 말입니다. 그동안 군불만 때던 선강퉁이 올해 말부터 시행된다고 하네요. 2014년 11월 후강퉁(邑港通)이 시행된 지 약 2년 만입니다. 전 세계 투자자들은 벌써 크리스마스 선물 기대감에 한껏 부풀어 올랐네요.
“선강퉁 뭥미?”
기사를 보며
박유천 성폭행 고소 女, “성관계 당시 나를 쉽게 본 것이라 생각” 고소 취하
오늘날씨, 전국에 천둥ㆍ번개 동반 ‘비’…일요일부터 장마 시작
‘리베이트 의혹’ 김수민 “개인적으로 착복한 돈 없다”
‘또 오해영’, 시청률 숨 고르기…서현진·에릭, 재회 키스에 ‘심쿵’
[카드뉴스] 한국, MSCI 선진지수 후보국 편입 또 불발…“원화
후강퉁(홍콩과 상하이 간 기관과 개인투자자의 상호 간 주식투자 허용)이 지난해 11월 17일 처음 시행된 이후 1년이 지났다. 지난 1년간 후강퉁을 통해 상하이거래소에서 거래된 외국인 매매 총액은 지난 16일 기준 1조5400억 위안(약 2460억 달러)였다. 이 기간에 상하이A주 상장종목 전체의 일평균 거래액 5419억 위안과 비교할 때 1.2% 규모
후강퉁에 관심이 집중되는 사이 신한금융투자는 중국의 코스닥으로 불리는 선강퉁 선점에 나섰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3월 중국 선전증권거래소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신한명품 중국본토 자문형 랩 B형’을 출시했다.
‘신한명품 중국본토 자문형 랩 B형’은 상하이A주와 선전A주에 동시 투자할 수 있는 해외 자문형 랩 상품이다. 올해 예정된 선강퉁 제도가
후강퉁(중국 상하이-홍콩 증시간 교차거래)에 이어 올 하반기 선강퉁(선전-홍콩 증시간 교차거래) 개막을 앞두고 선전 주식을 대폭 편입한 일명 ‘선강퉁 펀드’들이 주목받고 있다.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선전 주식 비중이 50% 안팎으로 유지되면서 운용 중인 펀드는 현재 ‘삼성중국본토중소형FOCUS자’(주식),‘동부차이나본토자주식’, ‘KB중국본토A주자’
후강퉁이 시행되자 각 증권사들은 유망 종목을 선별해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후강퉁 이슈를 선반영한 상하이종합지수가 올해 18% 급등세를 연출하며 단기적으로 우려도 엿보이고 있지만, 중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시장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한다. 또 증권주, 소비주, 배당주를 비롯해 거래 활성화, 성장 가능성, 높은 배당
중국 후강퉁
17일부터 시작된 중국 상하이 증시와 홍콩 증시 교차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인 후강퉁에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겁다.
18일 증권가에 따르면 전세계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후강퉁 시행 첫날인 17일 국내에서도 100억원 이상의 투자 자금이 몰렸다.
후강퉁은 중국 상하이 증시와 홍콩 증시 교차거래를 허용하는 제도다. 그동안 중국 본토 투자자들은
중국 상하이와 홍콩증시를 연동하는 후강퉁 인기가 폭발했다. 개시 첫날인 17일(현지시간) 상하이증시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매수 주문이 넘치면서 장 마감 전인 오후 1시57분께 후강퉁 일일 거래 한도인 130억 위안(약 2조3247억원)에 도달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밀려드는 주문에 현지 증권사들은 고객들의 구매 주문을 취소하기에 바빴다. 이미
◇ ‘후강퉁 시대’ 개막…글로벌 투자시장서 파급력 상당할 듯
글로벌 투자자들이 학수고대했던 중국 상하이와 홍콩증시 교차거래 제도 ‘후강퉁’이 17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후강퉁이 시행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홍콩을 거쳐 주식을 매매하고 중국 본토 투자자들도 홍콩 증시에 상장된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 홍콩에서 본토에 투자할 수 있는 대상은 중국 상하이
글로벌 투자자들이 학수고대했던 중국 상하이와 홍콩증시 교차거래 제도 ‘후강퉁’이 오는 17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후강퉁이 시행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홍콩을 거쳐 주식을 매매하고 중국 본토 투자자들도 홍콩 증시에 상장된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 홍콩에서 본토에 투자할 수 있는 대상은 중국 상하이 A주(내국인 전용주식) 중 우량주 568개 종목으로 상
후강퉁(중국 상하이ㆍ홍콩 증시 간 교차매매)이 27일 정상적으로 시행되기 힘들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당초 27일 시행될 것으로 알려졌던 후강퉁은 중국과 홍콩 현지 발표 지연으로 서비스 시행일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형 증권사 해외주식팀 관계자는 “중국 현지에서 지난 17일 후강퉁 시행과 관련한 가이드 및 준비
아시아 주요증시가 오후 들어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증시는 27일(현지시간) 지난 주말 중국의 기습적인 금리 인상조치에도 기업간 인수합병(M&A)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3거래일만에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중국증시는 중국발 긴축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오전장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일본증시의
중국증시가 하루만에 급락했다.
4일 상하이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3.63p(2.38%) 하락한 3023.37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A주는 2.38%(77.31p) 내린3170.23을 기록했다. 상하이B주는 4.45p(1.76%) 하락한 249.37로 마쳤다.
이날 중국 시장은 은행 대출 규제에 대한 우려로 은행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지수를 끌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