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반도체]남은 과제는… 시스템반도체 극복

입력 2014-10-23 10: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제는 ‘시스템 반도체’다. 한국은 반도체 강국을 자처하고 있지만,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를 제외한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는 아직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생산액 점유율은 16.2%로 일본(13.7%)을 제치고 사상 처음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2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메모리반도체 점유율은 52%로 압도적인 1위였지만 비메모리에 해당하는 시스템반도체 점유율은 6%에 못 미쳤다.

시장조사업체 IHS테크놀로지에 따르면 올 2분기 세계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점유율 3.9%(매출액 23억1400만 달러)로 4위에 그쳤다. 1분기 대비 매출액은 9.6% 감소했고, 시장점유율은 0.7%포인트 낮아졌다. 점유율 순위는 1분기와 마찬가지로 4위를 지켰으나 선두 업체들과의 격차는 더 벌어졌고, 5위 브로드컴(3.4%)과의 격차는 줄었다. 시스템반도체 1위 인텔(20.2%)의 점유율과 비교할 때 5분의 1에도 못 미치고 있는 수준이다.

메모리반도체는 정보를 단순히 저장하는 데 비해 시스템반도체는 정보처리 기능을 갖췄다. PC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자동차 등 셀 수 없이 많은 제품의 두뇌 기능을 한다.

시스템반도체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시장 규모도 메모리반도체보다 4배 이상 크다. 올 2분기 시스템반도체 시장 전체의 매출액은 593억6600만 달러로 7% 증가하는 등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의 수요 증가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일례로 애플의 ‘아이폰5S’에는 AP칩, 통신용칩, DSP칩, CIS칩 등 시스템반도체가 18개 들어가는 반면, 메모리반도체는 3개에 불과하다.

늦게나마 삼성과 LG, SK하이닉스 등 국내업체는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새로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7 옥타’ 를 공개하며 시스템반도체를 강화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최근 시스템반도체 관련 분야에서 대대적인 채용을 진행하며 전문인력 확보에 나섰고, LG전자는 지난 4월 시스템반도체업체인 실리콘웍스를 인수하며 시스템반도체의 기반을 닦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정체기에 접어들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며 “메모리에 편중된 사업구조를 벗어나 신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시스템반도체 사업 강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HBM 동맹의 균열… SK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에 무슨 일이 [ET의 칩스토리]
  • 미국 부유층까지 동요…“금융위기·코로나 때처럼 전화 문의 폭주”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단독 환경부, 9월부터 전직원 챗GPT 도입…'기재부版'과 차별화
  • 공정위 'LTV 담합' 과징금 폭탄 예고에…4대 은행 대책 마련 분주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 “흰 연기를 기다리며”…교황 선종 이후, 콘클라베의 시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200,000
    • +6.02%
    • 이더리움
    • 2,512,000
    • +10.51%
    • 비트코인 캐시
    • 518,500
    • +4.87%
    • 리플
    • 3,203
    • +7.02%
    • 솔라나
    • 211,600
    • +7.47%
    • 에이다
    • 963
    • +7.6%
    • 이오스
    • 959
    • +4.69%
    • 트론
    • 353
    • +0%
    • 스텔라루멘
    • 381
    • +5.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40
    • +6.21%
    • 체인링크
    • 20,130
    • +6.85%
    • 샌드박스
    • 417
    • +6.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