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잔밑효과?'국감 때 인사내는 얄팍한 공기업들

입력 2014-10-27 09: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부 공기업의 CEO, 상임감사 등 주요인사가 국정감사기간에 집중되고 있다. 국감에 쏠린 관심을 이용, 관피아 등 공기업 인사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분산하려는 계산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원전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 사건이 발생한 데 따른 책임을 지고 회사를 떠났던 한국전력기술의 김모 경영관리본부장과 윤모 원자력본부장 등 임원 2명은 사직 9개월 만에 국감이 한창인 지난 17일 한전기술의 상근위촉사무역으로 임명됐다.

한국전력의 정보통신기술(ICT) 자회사인 한전KDN의 경우 21일 주주총회를 열고 신임 사장에 임수경 전 KT 전무를 선임했다. 같은 날 한국수력원자력에선 위재민 변호사를 신임 상임감사위원으로 선임했다.

에너지관리공단 또한 23일 임명배 전 국립공원관리공단 상임감사를 상임감사로 임명했다.

문제는 공기업들의 ‘국감기간 인사’로 자리를 꿰찮 인물들이 대부분이 논란의 소지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한전기술의 임원 인사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의 집중 포화를 받았다. 특히 전 의원은 “원전 비리로 사직한 인사들이 재취업한 것은 국민을 기만한 것”이라며 인사철회를 요구했다. 이에 한전기술은 지난 3월 재취업한 임원을 포함, 전직 임원 3명의 인사를 철회했다.

나머지 공기업 인사의 경우 관피아와 유관한 인물들이어서 논란이 컸다.

한전KDN의 임수경 사장은 일반기업의 임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지만 1966년 국세청 개청 이후 첫 여성국장이란 타이틀이 있는 만큼 관피아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한수원의 신임 상임감사인 위재민 변호사 또한 23년간 검사로 재직해 사실상 관과 무관하지 않은 인사다. 임명배 에너지관리공단 상임감사의 경우 한국자산관리공사에 근무한 바 있어 공기업간의 인사이동이란 지적을 면키 어렵다.

일각에선 국감기간에 공기업 인사가 빈번해지는 이유에 대해 국회와 여론의 관심이 국감에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공기업들의 인사가 구설에 오를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전기술과 같이 ‘등잔밑’효과를 노리는 인사가 있을 수 있는 만큼 국감기간의 인사일수록 보다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34,000
    • +3.61%
    • 이더리움
    • 3,303,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75,500
    • -2.13%
    • 리플
    • 3,345
    • +7.69%
    • 솔라나
    • 240,200
    • +10.34%
    • 에이다
    • 1,108
    • +9.49%
    • 이오스
    • 1,204
    • +2.21%
    • 트론
    • 370
    • +5.11%
    • 스텔라루멘
    • 421
    • +9.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650
    • +6.17%
    • 체인링크
    • 22,680
    • +8.62%
    • 샌드박스
    • 463
    • +1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