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신제윤 금융위원장 "핀테크 혁명은 한국금융 당위적 과제"

입력 2015-01-0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핀테크 혁명을 주도하는 것은 한국금융의 미래를 위한 당위적 과제입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1일 을미(乙未)년 신년사를 통해 IT와 금융융합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신 위원장은 "알리바바, 구글, 애플 등 글로벌 IT기업들은 자금이체 부터 투자중개업에 이르기까지 금융 고유의 영역 곳곳으로 자신의 활동무대를 넓혀가고 있다"며 "이러한 핀테크 열풍은 향후 금융부문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는 "금융과 IT간 합종연횡을 유발해 금융산업이 다양한 형태로 재정비될 것"이라며 "네트워크 기반 산업의 경우 소비자와의 접점을 빠르게 선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발 빠른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규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범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ㆍ적극적으로 핀테크 산업의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라며 "1월중으로 종합적인 ITㆍ금융융합 지원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 위원장은 올해 계층간 금융 불균형을 해소해 구성원간 '신뢰 금융'을 형성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주거ㆍ고용ㆍ복지 등 일상생활과 연계된 맞춤형 금융상품을 도입해 서민들의 금융니즈를 충족시키겠다" 라며 "대부업체 및 대출모집인 등에 대한 관리ㆍ감독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상담 채널을 확충하고 서민 눈높이에 맞는 금융교육을 확대할 것"이라며 "금융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서민금융총괄기구'를 설립해 원스톱 지원체계도 완성하겠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신 위원장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가계부채 구조개선 작업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은행권 가계부채 구조개선과 2금융권은 과도한 외형확장을 억제하는 '부동산대출 관리의 내실화' △장기ㆍ고정금리ㆍ분할상환대출로 전환을 유도하는 '가계빚 체질 개선' △상환 능력에 기반한 대출취급을 유도해 '처음부터 빚을 갚아 나갈 수 있는 구조' △맞춤형 금융지원을 통해 취약계층이 '빚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그는 "금융보안 및 금융소비자 보호를 획기적으로 강화해 금융시스템 자체의 안정성을 제고할 것"이라며 "자본ㆍ자금시장 안정을 침해하는 요인이 발생한다면 과감하고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신 위원장은 "국민들이 편안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뿌리 깊고 강건한 금융을 만들어야 한다"며 "올해가 '금융강국'의 기틀을 세우는 한 해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나솔사계' 10기 영식, 딸과 전화 통화 후 눈물…"인기도 없고 욕도 먹을 것, 참 어려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2: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00,000
    • +0.24%
    • 이더리움
    • 2,510,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503,000
    • -2.9%
    • 리플
    • 3,121
    • -1.08%
    • 솔라나
    • 217,500
    • +1.73%
    • 에이다
    • 1,013
    • +2.84%
    • 이오스
    • 960
    • +2.02%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96
    • +4.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10
    • +1.07%
    • 체인링크
    • 21,240
    • +0.43%
    • 샌드박스
    • 428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