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2월10일 功七過三(공칠과삼) 잘한 것이 일곱이고 잘못한 게 셋

입력 2015-02-10 13: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철순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신임 대표가 당선되자마자 이승만,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했다. 문 대표는 국민통합을 위해 참배했다지만 당 내외에서 비판이 거세다. 예상됐던 일이다.

그는 박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지난해 11월 “(박 전 대통령은) 공적이 7이고 과실이 3 정도 되지만 반성과 청산하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박근혜 대통령을 에둘러 비판했었다. 이른바 공칠과삼(功七過三)론이다. 그런데 이번에 참배를 하면서 문 대표는 방명록에 ‘모든 역사가 대한민국입니다’라고 썼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출간한 <산다는 것은 끊임없는 시작입니다>라는 책에서 박 전 대통령을 ‘공칠과삼’으로 평가한 바 있다. 공이 7이라는 것보다 과가 3이라는 걸 강조한 언급이지만, 어쨌든 그나마도 화제가 됐던 말이다.

공칠과삼은 안 지사가 그 책에서 소개한 대로 덩샤오핑(鄧小平)이 마오쩌둥(毛澤東)을 평가한 말이다. 문화혁명 당시 마오에 의해 숙청돼 큰 피해를 당했는데도 그의 공을 7로 평가한 게 놀랍다.

공칠과삼은 원래 공로와 허물이 반반이라는 공과상반(功過相半)을 응용한 말이다. 공과상저(功過相抵)·공과참반(功過參半)도 같은 말이다. 시대와 개인의 평가에 따라 같은 인물이라도 공칠과삼이 되거나 공팔과이(功八過二)가 될 수 있다. 큰 인물일수록 훼예포폄(毁譽褒貶)이 엇갈린다. 누구든 되도록이면 공엄기과(功掩其過·공적이 그 허물을 가린다)로 평가하는 게 좋지 않을까. 전적으로 과만 저지른 사람은 어쩔 수 없지만.

우리 역사에는 조선 영조~순조 연간의 무신 유효원(柳孝源·1751~1813)이 홍경래의 난을 평정한 공을 세우고도 2000명 가까운 반군을 모두 처형했다 해서 공과상반으로 비판받은 기록이 있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준, 기준금리 동결…4.25~4.5%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어버이날 인사말 고민? 2025 어버이날 문구 총정리
  • "'효심'으로 대하니 만족도도 올라가요" 우리은행 시니어 점포 가보니 [그레이트 시니어 上]
  • 챔스 결승전 대진표 완성…'빅 이어' 주인공은?
  • '골때녀' 월드클라쓰, 4회 우승 저력 어디갔나⋯구척장신에 1-3 패배 '멸망전' 위기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김문수 "당무우선권 발동...당 지도부, 강제단일화 손떼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11: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304,000
    • +1.47%
    • 이더리움
    • 2,602,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69,500
    • +6.75%
    • 리플
    • 3,055
    • +0.36%
    • 솔라나
    • 211,800
    • +1.05%
    • 에이다
    • 974
    • +0.83%
    • 이오스
    • 1,163
    • +16.88%
    • 트론
    • 353
    • +1.73%
    • 스텔라루멘
    • 373
    • +0.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900
    • +2.86%
    • 체인링크
    • 20,100
    • +1.72%
    • 샌드박스
    • 397
    • +1.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