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가장 꺼리는 기업 '초과근무 강요형'

입력 2015-04-29 13: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근로자들에게 불법이나 편법적 수단을 통해 비합리적인 노동을 강요하는 ‘블랙기업’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구직자들이 가장 지원하고 싶지 않은 기업의 유형으로 ‘초과근무를 강요하는 기업’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구직자 92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야근, 주말출근 등 초과근무를 강요하는 기업’이 23.2%로 가장 지원하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고 29일 밝혔다.

구직자들은 과중한 업무량에 대한 보상은커녕 야근과 주말근무를 당연히 여기는 데다, 시간외 수당을 연봉에 포함시키는 등 기업에 유리하게 하는 점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2위는 ‘비인격적 대우로 자진퇴사를 유도하는 기업’(15%)으로, 정규직 전환 계약을 앞두고 의도적으로 괴롭혀 스스로 퇴사하게 만드는 유형이다.

다음으로 △임금을 체불하는 기업(13.3%) △채용공고가 너무 자주 올라오는 기업(11.8%) △급여, 휴가 등 회사규정에 대해 설명해주지 않는 기업(7.5%) △시간 외 수당을 제대로 안 주는 기업(6.5%) △군대식 문화 등 소통이 안 되는 기업(5.6%) △친인척 등 낙하산 인사가 많은 기업(5.6%), △직원들의 근속연수가 짧은 기업(4.2%) △채용 평가기준이 불분명한 기업(3.2%)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기업문화가 뒷받침 되어야 하는 만큼 기업 차원에서 해당 기업 문화 중 비합리적인 요소가 없는지를 수시로 점검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주에도 기업들의 채용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동원그룹, 한국수력원자력, KCC, KDB대우증권, 삼성전자로지텍, 삼립식품, 삼립GFS, 한성자동차, 대한주택보증, 신세게푸드, 이라이콤 등이 인턴·신입·경력 사원을 모집한다. 대부분의 기업이 오는 5월 1~6일 사이 원서접수를 마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833,000
    • +0.65%
    • 이더리움
    • 2,602,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523,500
    • -1.32%
    • 리플
    • 3,179
    • +0.63%
    • 솔라나
    • 215,600
    • -2.84%
    • 에이다
    • 1,035
    • -0.19%
    • 이오스
    • 1,007
    • +2.76%
    • 트론
    • 356
    • +1.42%
    • 스텔라루멘
    • 420
    • +2.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50
    • +16.87%
    • 체인링크
    • 21,580
    • -1.55%
    • 샌드박스
    • 447
    • +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