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전공노 합법노조 인가해 대화파트너 삼아야”

입력 2015-05-04 10: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29 재보선 참패 두고는 “사람·제도·정책·운영방식 모든 걸 바꿀 각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4일 지난 4.29 재보궐선거 참패와 관련해 “사람과 제도, 정책, 당의 운영 방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는 각오로 임하겠다”고 혁신 의지를 다졌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의 아픔을 잊지 않고 겸손한 자세와 더 굳은 결의로 당을 제대로 혁신하겠다. 총선 승리를 위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유능한 경제정당으로의 진로를 흔들림 없이 더 과감하게 가겠다”며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를 최우선으로 고민하고 해결하겠다. 여의도에만 있지 않고 국민 속으로, 현장 속으로 들어가고 지역민심을 더 낮은 자세로 경청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천혁신·지역분권정당·네트워크정당 등 3대 혁신추진단을 통해 국민과 당에 약속한 혁신의 소통 속도를 높이겠다”며 “인재영입위원회를 통해 새로운 인재를 영입하고 수권정당에 걸맞는 인물들을 키워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지리를 받는 정당을 만들겠다”며 “내년 총선에서 이런 아픔을 결코 되풀이하지 않겠다”고 했다.

문 대표는 여야간 공무원연금 개혁안 합의와 관련해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대승적 결단을 해준 공무원들 덕분에 합의가 이뤄졌다. 특히 정부가 법외노조로 취급한 전공노(전국공무원노동조합)까지 합의에 동참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라고 평가했다. 이어 “차제에 정부는 전공노를 설립인가해 합법노조화할 필요를 공감하고 대화의 파트너로 삼는 대전환을 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해당사자의 합의를 통한 제도 개혁은 향후 우리사회가 가야할 사회적 대타협의 모델을 보여줬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에 그치지 않고 국민소득 명목대체율을 50%로 끌어올리는 등 일반국민의 공적연금을 크게 강화할 수 있게 된 건 매우 의미있는 일로, 국민 노후소득보장을 통한 노인빈곤문제 해결의 중요한 출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옥 대법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준안 문제를 두고는 “(정의화 국회의장이) 임명동의안을 직권상정하려는 움직임을 단호히 반대한다”며 “역사 앞에 반성없는 사람이 대법관이 돼선 안 된다”고 임명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 대표는 “이는 여야와 진보·보수를 떠나 대한민국의 민주적 가치와 정의에 반하는 일”이라며 “정의화 의장께선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다음 주 尹 법정 모습 공개된다…법원, 공판 촬영 허가
  • 감사원 “文 정부, 통계청·부동산원 압박해 수치 수정·왜곡 지시”
  • 트럼프 ‘관세 협상’ 깜짝 등판…일본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겨
  • “대중교통 이용도 쉽지 않으니까요”…‘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이용하려면 [경제한줌]
  • [세계의 창] 푸틴, 해군 핵무기 현대화 완료 선언...전문가 의견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82,000
    • +0.49%
    • 이더리움
    • 2,325,000
    • +1.97%
    • 비트코인 캐시
    • 483,300
    • +4.16%
    • 리플
    • 3,030
    • -0.43%
    • 솔라나
    • 195,500
    • +5.33%
    • 에이다
    • 907
    • +2.72%
    • 이오스
    • 925
    • -0.22%
    • 트론
    • 361
    • -1.37%
    • 스텔라루멘
    • 349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00
    • +0.72%
    • 체인링크
    • 18,260
    • +3.51%
    • 샌드박스
    • 362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