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롯데월드 시네마ㆍ수족관 재개장... 방문객 2배, 월 300억 매출 증가 기대

입력 2015-05-08 10: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서울시가 제2롯데월드 수족관과 영화관의 재개장을 8일 승인하면서 그동안 심각한 영업부진에 시달렸던 롯데측은 물론 입점업체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재개장에 따라 1일 평균 방문객수는 수족관과 영화관 사용 중단 이전 수준인 10만명을 웃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평균 방문객 6만5000명보다 60% 이상 늘어난 수치다.

지난 2월 약 370억원이었던 매출도 600억원대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 중단 이전인 지난해 11월 매출은 620억원이었으며, 여기에 콘서트홀까지 개장할 경우 매출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제2롯데월드 지하 1층에서 레스토랑 ‘빌라드 샬롯’을 운영하고 있는 롯데리아 관계자는 “수족관과 시네마가 재개장되면 레스토랑 매출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그동안 쌓였던 손해가 어느 정도 만회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산 위기에 몰렸던 입점업체들도 한숨을 돌리는 모습이다. 지하 1층 푸드코트에 입점해 있는 업체 관계자는 “사용 중단 이후 매출이 절반 이상 떨어져 맘고생이 심했다”며 “재개장만을 손꼽아 기다려왔는데 이번에 결정돼 다행”이라고 안도감을 보였다.

제2롯데월드를 운영하는 롯데물산은 서울시의 재개장 승인 발표가 임박했다는소식을 듣고 쇼핑몰 등의 활성화를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롯데물산 관계자는 “재개장이 승인되는 날로부터 하루 동안 재개장을 준비하고, 3일간 시네마와 아쿠아리움을 어린이와 어르신 등 지역주민 등에게 무료로 개방한 뒤 다음날 정식 개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서울시가 140여 일간의 철저한 점검을 통해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는 시설로 확인한 만큼, 안심을 넘어 시민께 사랑받을 수 있는 세계적 공간이 되도록 롯데의 모든 에너지를 쏟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제2롯데월드는 서울시의 재개장 승인이 나는대로 준비에 돌입해 이르면 다음주 부터 시네마와 수족관 영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75,000
    • -0.14%
    • 이더리움
    • 2,336,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472,300
    • +0.17%
    • 리플
    • 3,092
    • -0.13%
    • 솔라나
    • 187,200
    • -0.43%
    • 에이다
    • 901
    • -2.28%
    • 이오스
    • 869
    • -2.58%
    • 트론
    • 366
    • +0%
    • 스텔라루멘
    • 351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20
    • -0.76%
    • 체인링크
    • 18,060
    • -2.01%
    • 샌드박스
    • 363
    • -3.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