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쯔강 456명 탑승 여객선 침몰…“선체 내 생존자 있다… 일부 반응 확인”

입력 2015-06-03 10: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밤샘 수색에도 성과 없어…인명구조 작업에 총력

▲지난 1일(현지시간) 중국 후베이성 양쯔강에서 침몰한 선박에서 구조대원들이 생존자를 끌어올리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중국 후베이성 젠리현 부근 양쯔강에서 여객선 침몰 사고가 발생한 지 사흘째인 3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이 생존자가 있는 것으로 보고 인명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리커창 중국총리는 전날 밤 회의에서 “조그마한 희망도 절대 포기하지 말고 인명 구조에 나서달라”며 군부대와 지방당국 인력이 밤샘 구조에 나설 것을 지시했다. 특히 리 총리는 잠수요원들에게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선체를 반복적으로 면밀하게 수색해 생명구조의 기적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사고 발생 직후 현장으로 달려가 사고 현장 구조 지휘를 맡은 리 총리는 “선체 절단, 공기 주입 등 모든 수단을 세울 준비를 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그러나 선제 절단을 추진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사고 선박인 ‘둥팡즈싱’ 호에는 총 456명이 타고 있었으며 전날까지 14명이 구조됐고 7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중국 언론들은 458명이 타고 있었다고 전했으나 교통운수부는 인원이 2명 준 456명이 탑승했다고 밝혔다.

악천후 속에서도 구조대원들은 밤샘 수색작업을 벌였으나 별다른 발표가 없는 것을 바탕으로 추가 구조자 및 시신 수습 등의 성과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부 잠수요원이 선체 내 생존자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선체를 두드렸을 때 일부 반응을 보인 경우도 있어 ‘생환 기적’에 기대를 거는 것으로 보인다.

무장경찰 후베이 본부는 1000명의 구조대원과 40여 척의 선박을 동원해 인명구조와 수색에 나섰고, 해군은 잠수병력 140여 명을 급파했다. 또 공군은 6대의 항공기를 지원했다.

한편, 배가 침몰한 직후 선박과 승객들을 버리고 밖으로 헤엄쳐 나온 선장과 기관장에 대한 중국 당국은 조사를 벌이고 있다. 또 배가 침몰한 정확한 원인을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00,000
    • +1.13%
    • 이더리움
    • 2,624,000
    • +2.86%
    • 비트코인 캐시
    • 535,500
    • +6.78%
    • 리플
    • 3,306
    • +0.76%
    • 솔라나
    • 214,400
    • +1.37%
    • 에이다
    • 1,023
    • +1.79%
    • 이오스
    • 1,002
    • +1.42%
    • 트론
    • 353
    • -1.12%
    • 스텔라루멘
    • 403
    • -1.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50
    • -0.97%
    • 체인링크
    • 21,500
    • +1.08%
    • 샌드박스
    • 437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