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샤오미, 성장세 둔화 조짐…상반기 목표 못 채워

입력 2015-07-02 16: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470만대 판매로 전년보다 33% 성장…올해 목표 달성 실패할 수도

▲샤오미는 2일(현지시간) 지난 상반기 스마트폰 판매가 3470만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휴고 바라 샤오미 해외시장 담당 부사장이 지난달 30일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스마트폰 출시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상파울루/신화뉴시스

중국 스마트폰업체 샤오미의 폭발적인 성장속도가 느려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샤오미는 2일(현지시간) 지난 상반기 스마트폰 판매가 3470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놀라운 성장세지만 샤오미가 올해 세웠던 판매 목표의 절반에 못 미치는 것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설립 5년째를 맞는 샤오미는 매년 자신이 세운 목표를 뛰어넘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왔다. 지난해도 샤오미 스마트폰 판매는 목표인 6000만대를 훌쩍 뛰어넘었다. 다만 전문가들은 재고분을 감안하면 실제 소비자들에게 판매된 스마트폰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지난해 샤오미 실제 판매 대수는 5650만대에 그쳤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올해 판매량에 대해서도 샤오미의 자신감이 다소 약해진 것처럼 보인다. 지난해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판매가 1억대에 이를 것이라고 장담했다. 그러나 회사는 최근 목표를 8000만~1억대로 낮췄다.

샤오미는 다른 업체들이 자신의 성공비결인 온라인 마케팅과 싸지만 고성능의 하드웨어 등의 전략을 베껴 시장에 접근하면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타격은 애플 아이폰6 시리즈가 중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지난해 하반기 샤오미는 중국 1위에 올랐지만 지난 1분기 애플에 그 자리를 내줬다. 중국 스마트폰시장이 포화 상태에 달해 성장세가 둔화한 것도 문제다. IDC에 따르면 1분기 중국 스마트폰 판매는 전년보다 4% 감소했다. 중국시장이 감소세를 보인 것은 6년 만에 처음이다.

자국시장의 성장 둔화에 샤오미는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번 주 샤오미는 브라질에서 ‘레드미2’를 출시했다. 아시아 이외 다른 스마트폰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삼성전자와 현지업체 ‘블루(Blu)’가 이미 브라질시장을 장악한 상태이기 때문에 공략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샤오미는 인도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 4월 라탄 타타 전 타타그룹 회장의 투자를 받아 인도 진출에 더욱 탄력을 붙일 수 있게 됐다. 라탄 타타는 현재 벤처 투자자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067,000
    • +3.46%
    • 이더리움
    • 2,886,000
    • +12.08%
    • 비트코인 캐시
    • 589,500
    • +14.91%
    • 리플
    • 3,157
    • +4.85%
    • 솔라나
    • 225,200
    • +9.21%
    • 에이다
    • 1,030
    • +9.57%
    • 이오스
    • 1,197
    • +9.62%
    • 트론
    • 359
    • +2.57%
    • 스텔라루멘
    • 396
    • +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50
    • +9.46%
    • 체인링크
    • 21,430
    • +11.44%
    • 샌드박스
    • 425
    • +11.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