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2018평창동계올림픽 최상급 후원 협약 체결

입력 2015-07-23 17: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선수단 수송 및 의전 차량 등 4100여대 및 후원금 지원 나서

▲조양호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왼쪽), 린드버그 IOC 조정위원장(가운데), 정진행 현대기아차 사장이 협약서 증서를 들고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사진제공= 현대기아차)

현대기아차가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공식후원에 나선다.

현대기아차는 23일 평창 켄싱턴 플로라 호텔에서 정진행 현대기아차 사장과 조양호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8평창동계올림픽 및 동계장애인올림픽 공식후원 협약식을 가졌다.

현대기아차의 후원규모는 국내 스폰서십 중 최상급인 ‘공식파트너(Tier1)’다.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 대회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선수단 수송차량, 의전차량, 대회운영 차량 등 총 4100여대와 후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기아차는 △대회 공식차량 공급 △공식파트너 명칭 활용 △대회마크 사용하는 프로모션 △올림픽 현장 내 홍보관 운영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할 계획이다.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인 현대기아차를 후원사로 맞이함으로써 든든한 지원군을 얻게 돼 올림픽 준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현대기아차 외에 삼성, KT, 대한항공, 노스페이스 등 총 5곳의 최상급 공식 파트너를 확보한 상태다. 이번 후원 협약을 계기로 더욱 많은 후원사들의 참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진행 현대기아차 사장은 “전세계인의 축제인 올림픽에 현대·기아차가 기여를 할 수 있어 매우 영광”이라며 “성공적인 개최가 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피파월드컵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스포츠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에서 개최된 2012여수세계박람회, 2014인천아시안게임, 2015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 등 각종 국제행사들을 후원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동탄은 올랐고 파주는 멈췄다...아파트값 뜯어보니 ‘수혜지’ 희비 갈려 [GTX A, 개통 1주년 ②]
  • 대선 앞두고 재점화되는 토큰증권(STO)…업계는 '기대 반, 걱정 반'
  • 삼성전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투자 '올인'
  • '나는 솔로' 25기 영철, "스킨십에 관대하냐"…손잡기 유도에 현숙은 불편 "마음 많이 없어져"
  • 뮌헨과 레알이 탈락?…챔스 4강 대진표 완성
  • '골 때리는 그녀들' 한국, 일본에 3-2 승리…박지안 역전골 '한일전 리벤지' 완벽 성공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10: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268,000
    • +0.56%
    • 이더리움
    • 2,306,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477,000
    • +2.58%
    • 리플
    • 3,022
    • -0.72%
    • 솔라나
    • 191,700
    • +4.58%
    • 에이다
    • 894
    • -0.33%
    • 이오스
    • 888
    • +1.6%
    • 트론
    • 358
    • -2.19%
    • 스텔라루멘
    • 344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60
    • -0.32%
    • 체인링크
    • 18,080
    • +0.22%
    • 샌드박스
    • 356
    • -1.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