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광풍] 부산ㆍ대구 부동산이 미쳤다

입력 2015-11-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파트 시총, 5년 전 보다 대구 82%, 부산 50% 폭증…대구 작년 상승률 서울의 3배 육박

대구ㆍ부산의 아파트 시장 과열이 식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경고음도 나오고 있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대구의 올해(9월말 기준) 아파트 매매 시가총액은 116조3823억원으로 지난해 말 100조866억원 보다 16조3000억원이나 늘었다. 무려 16% 늘어난 수치다. 부산 역시 142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131조2000억원에 비해 11조 원 증가했다.

서울지역의 아파트 시가총액이 같은 기간 669조933억원에서 707조3970억원으로 5.7%(38조3037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다. 대구는 서울 상승률의 3배, 부산도 2배에 육박한다.

부산만 놓고 보면 올해 이 지역의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76.4 대 1로 전국 평균 12.4 대 1이나 서울 11.7대 1 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해운대구 ‘엘시티더샵’ 주상복합아파트의 분양가는 3.3㎡당 평균 2730만원으로, 펜트하우스(꼭대기층) 일부 타입은 평당(3.3㎡당) 분양가가 7000만원을 넘어서 국내 최고가를 기록했다. 펜트하우스 320㎡(97평형) 분양가는 67억6000만원으로 역대 최고가였던 서울 강남구의 청담동 상지리츠빌카일룸3차 273㎡의 53억2932만원을 제쳤다.

영산대 주택ㆍ도시연구소는 최근 ‘아파트 월별ㆍ거래원인별 거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부산지역 아파트 거래 8만6221건 가운데 분양권 거래(전매)가 3만636건으로 전체 거래건수의 36.7%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서울의 3배에 달한다.

하지만 5년간 이어진 대구 부산 등의 과열은 집값 거품과 미분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대구 ㅅ 공인중개사 대표는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수천만원에서 1억원까지 치솟은 프리미엄 붙은 신규 아파트 거래가 이어졌지만 하반기부터 뜸한 상태”라며 “집주인들이 더 이상 오르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앞다퉈 아파트를 내놔 매물만 쌓여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91,000
    • -0.33%
    • 이더리움
    • 2,301,000
    • -0.78%
    • 비트코인 캐시
    • 496,000
    • +3.12%
    • 리플
    • 3,002
    • -0.53%
    • 솔라나
    • 193,900
    • -0.67%
    • 에이다
    • 901
    • -0.55%
    • 이오스
    • 901
    • -2.17%
    • 트론
    • 351
    • -2.77%
    • 스텔라루멘
    • 350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70
    • +2.26%
    • 체인링크
    • 18,250
    • +0.05%
    • 샌드박스
    • 378
    • +4.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