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 ‘베타맥스’ 비디오카세트, 40년 만에 단종…베타맥스, 역사 속으로

입력 2015-11-11 10: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니 베타맥스플레이어. 사진=소니
▲소니 베타맥스플레이어. 사진=소니

일본 소니의 ‘베타맥스(Betamax)’ 포맷 비디오카세트가 출시 40년 만에 단종된다.

소니는 10일(현지시간) ‘베타 비디오카세트’와 ‘마이크로MV 카세트’의 출하를 2016년 3월 또는 그전에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1975년 탄생한 소니의 베타맥스가 40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베타맥스 포맷의 비디오카세트테이프는 같은 포맷의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인 ‘SL-6300’과 함께 1975년 5월 처음 출시됐다. 소니가 개발한 베타맥스는 사상 최초로 일반 소비자에게 보급된 가정용 비디오 재생·녹화 포맷이었다.

그러나 1976년 10월 마쓰시타전기산업 계열사였던 일본빅터(JVC)가 ‘비디오 홈시스템(VHS)’를 선보이며 치열한 경쟁에 휘말렸다.

이른바 ‘비디오 포맷 전쟁’에서 소니가 패자, 마쓰시타가 승리자가 된 이유는 지금도 기업전략·제품기획·마케팅 분야에서 거론되는 사례 연구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1980년대 초중반 베타맥스는 VHS에 급속히 밀리기 시작했고, 1988년에는 소니마저 VHS 포맷의 VCR를 생산했다. 이는 소니가 비디오 포맷 전쟁에서 패배를 인정한 셈이다.

베타 비디오카세트의 출하량은 1984년 5000만개로 정점을 기록하고 내리막길로 들어섰다. 베타맥스 VTR은 2002년 단종될 때까지 전 세계에서 약 1800만대가 팔렸다.

아날로그 방송 시절 TV 방송국에서 소니 베타맥스를 쓰는 곳이 많았다. 이에 소니는 해당 포맷의 VTR과 비디오카메라를 보유한 개인·기업 사용자들을 위한 베타 비디오카세트를 지속적으로 공급했다. 하지만 베타맥스를 쓰는 방송국이 사실상 사라짐에 따라 소니는 베타맥스 단종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니가 이날 베타맥스와 함께 단종시킨 마이크로MV는 소니 고유의 디지털 비디오 녹화·재생 포맷이다. 이 포맷의 캠코더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15,000
    • +0.25%
    • 이더리움
    • 2,656,000
    • +2.83%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4.55%
    • 리플
    • 3,174
    • +0.79%
    • 솔라나
    • 216,400
    • -0.82%
    • 에이다
    • 1,030
    • -0.48%
    • 이오스
    • 994
    • +0%
    • 트론
    • 366
    • +4.57%
    • 스텔라루멘
    • 424
    • +2.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4.82%
    • 체인링크
    • 21,640
    • -0.09%
    • 샌드박스
    • 454
    • +1.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