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식량가격지수 1.0% 하락...수요부진-공급증가 맛물려

입력 2016-01-11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식량가격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15년 12월 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보다 1.0%(1.5포인트) 하락해 154.1포인트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17.1%(31.8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이는 세계적인 수요 부진과 미국 달러화 강세 및 풍부한 공급량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식량가격지수는 2011년 229.9포인트를 기록한 이래 4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모든 품목의 가격이 2014년 대비 하락했다.

이중 곡물은 2015년 11월(153.6포인트)보다 1.3% 하락한 151.6포인트를 기록했다.

밀 가격은 아르헨티나의 수출세 폐지 이후 대규모 물량의 시장 유입 전망에 따라 하락했다. 옥수수 가격도 수출경쟁 심화, 세계적 수요 부진 등에 따라 떨어졌다.

쌀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이는 일부 곡종(인디카, 향미)의 지속적인 수요에 따른 것이다.

2015년 평균 곡물 가격지수는 162.4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에 비해 15.4%(29.5포인트) 하락한 수치이다.

유지류는 2015년 11월(138.2포인트)보다 2.1% 상승한 141.2포인트를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 유지류 가격지수는 147포인트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4년에 비해 18.9%(34.1포인트) 하락했다.

설탕은 2015년 11월(206.5포인트)보다 0.6% 상승한 207.8포인트를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 설탕 가격지수는 190.7포인트를 기록했다.

육류는 지난해 11월(155.6포인트)보다 2.2% 하락한 152.1포인트를 나타냈다. 지난해 평균 육류 가격지수는 168.4포인트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4년에 비해 15.1%(29.9포인트) 하락한 수치이다.

유제품은 2015년 11월(151.1포인트)보다 1% 하락한 149.5포인트를 기록했다.

2015년 평균 유제품 가격지수는 160.3포인트로 분석됐다. 이는 2014년에 비해 28.5%(63.8포인트) 하락한 수치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 폭력, 방화 그리고 살인까지…층간소음 갈등 원인과 해결 방법은 [이슈크래커]
  • '이혼숙려캠프' 나온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향년 35세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60,000
    • +5.5%
    • 이더리움
    • 2,557,000
    • +10.07%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5.66%
    • 리플
    • 3,222
    • +7.15%
    • 솔라나
    • 216,700
    • +7.38%
    • 에이다
    • 997
    • +9.44%
    • 이오스
    • 964
    • +5.01%
    • 트론
    • 353
    • -1.12%
    • 스텔라루멘
    • 385
    • +8.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80
    • +5.3%
    • 체인링크
    • 20,960
    • +9.62%
    • 샌드박스
    • 426
    • +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