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硏 "올해 한우값 오르고 돼지고기 값 내린다"

입력 2016-01-25 12: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한우 고기 가격이 더 오르는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2.5% 상승한 ㎏당 1만6691원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한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14%나 오른 ㎏당 1만6284원이었다. 한우 가격 상승 탓에 쇠고기 수입량은 29만7000톤으로 전년보다 6.3% 늘었다.

올해도 한우 가격 상승이 전망되는 이유는 2012년부터 시작된 사육 마릿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지난해(268만 마리)와 비교해 1.9% 감소한 263만마리로 추정됐다.

연구원은 한우 가격 강세로 수입 쇠고기의 시장 점유율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10월로 예정된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금지법) 시행 또한 한우 고기 수요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올해 돼지고기 가격은 돼지 사육 마릿수가 0.7% 늘어 작년(4939원)보다 11.6% 하락한 ㎏당 4364원으로 전망됐다.

2016 양곡연도 단경기(농산물 수요가 공급을 앞서는 시기·7∼9월) 산지 쌀 가격은 정부의 추가 시장개입이 없으면 수확기(15만2158원)보다 6% 하락한 80㎏당 14만3000원 안팎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올해 예상 벼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2.2% 줄어든 78만2000㏊이다.

6대 과일(사과·배·복숭아·포도·감귤·단감) 예상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한 10만8000㏊으로, 평년 수준의 작황을 전제로 올해 과일 생산량은 5% 감소한다.

오렌지와 포도 수입량은 계절관세 추가 인하 등으로 늘어나고 자유무역협정(FTA) 영향으로 호주산 체리와 베트남산 망고 수입도 증가할 전망이다.

배추·무·당근 등 엽근채소 재배면적은 5만5842㏊로 작년보다 3%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양념채소 중 건고추 재배면적은 4% 줄지만 지난해 가격이 오른 마늘, 양파, 대파는 재배면적이 각각 5%, 3%, 1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854,000
    • -0.43%
    • 이더리움
    • 2,589,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519,000
    • -5.89%
    • 리플
    • 3,169
    • -0.19%
    • 솔라나
    • 214,200
    • -3.82%
    • 에이다
    • 1,024
    • -1.73%
    • 이오스
    • 994
    • +1.74%
    • 트론
    • 363
    • +3.13%
    • 스텔라루멘
    • 417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00
    • +5.2%
    • 체인링크
    • 21,340
    • -1.75%
    • 샌드박스
    • 439
    • -0.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