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물] 3월 18일 안로베르자크 튀르고(1727.5.10~1781.3.18)- 佛 루이16세 때 재정개혁 주도

입력 2016-03-18 10: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루이 16세 통치 시기 프랑스는 돈줄이 완전히 말랐다. 그래서 1774년 그가 고민 끝에 어렵사리 재정총감으로 발탁한 인물이 리모주(프랑스 중남부의 도시) 지사 출신의 안로베르자크 튀르고(1727.5.10~1781.3.18)다. 그는 재정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농민의 무상 부역 강제 철폐, 길드제도의 폐지, 산업에 대한 자유 보장이라는 카드를 들고 나왔다.

그러나 개혁에 반대하는 귀족들은 1775년 식량 폭동의 책임을 그에게 덧씌워 1776년 결국 퇴직하게 했다. 그리고 그가 주도한 프랑스 개혁도 그의 사임과 함께 수포가 됐다.

그는 대표적인 중농학파다. 그러나 중농학파들 사이에선 방계 학도 정도로 취급됐다. 그가 프랑수와 케네 같은 형이상학적인 자연질서의 개념을 신봉하지 않고 역사적ㆍ심리적 사실에 입각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또한, 중농학파는 그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업계급에만 생산성을 인정하고 순수입은 그들에게서만 발생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는 상공계급의 생산성까지 인정했다. 지주의 토지소유권에 대해서도 중농학파는 신의 뜻으로 치부한 데 반해 그는 이것을 인간이 만든 제도이며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불과한 것으로 해석했다.

그는 파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파리시장을 지냈다. 파리대학 신학부를 마치고 22세에 수도원장이 됐으나 볼테르의 저서를 읽고 회의를 느껴 관계에 투신했다. 관계에서 그는 파리고등법원 소원관, 리모주의 지방감찰관 등을 지냈다. 볼테르 및 백과전서파와 교류하고, ‘백과전서’에 두 항목을 집필했다.

그의 저서 ‘부의 형성과 분배에 관한 고찰’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 약 10년 앞섰는데, 스미스에 의해 체계화한 많은 사상(분업, 노동의 생산성, 기업의 자유, 경쟁 등)이 기술돼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선택의 기로에 선 K-반도체 [공급망 전쟁의 서막②]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1분기 실적 엇갈린 K배터리, 美서 반등 기회 엿본다
  • 국힘 후보 선출 확률 한동훈-홍준표 순...단일화·尹 변수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ESG' 이름 지우는 금융사들…"변해야 산다" [공중누각 ESG금융]
  • 사업장 손실 책임 떠안아…하청·지역경제까지 연쇄 타격[선 넘은 신탁사 부실 中]①
  • 하동 산불, 일출 뒤 헬기 동원…진화율 99%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8 14: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940,000
    • +3.07%
    • 이더리움
    • 2,371,000
    • +1.98%
    • 비트코인 캐시
    • 416,700
    • +4.12%
    • 리플
    • 2,830
    • +4.7%
    • 솔라나
    • 165,100
    • +7.35%
    • 에이다
    • 884
    • +5.87%
    • 이오스
    • 1,108
    • +3.94%
    • 트론
    • 349
    • +2.65%
    • 스텔라루멘
    • 347
    • +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80
    • +3.82%
    • 체인링크
    • 17,550
    • +5.98%
    • 샌드박스
    • 362
    • +4.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