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물] 9월 25일 신규식-3·1운동의 불씨 당긴 임정외교의 주역

입력 2016-09-2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장대명 편집부 차장

‘마음이 죽어버린 것보다 더 큰 슬픔이 없고, 망국(亡國)의 원인은 이 마음이 죽은 탓이다.…우리의 마음이 곧 대한의 혼이다. 다 함께 대한의 혼을 보배로 여겨 소멸되지 않게 하여 먼저 각자 자기의 마음을 구해 죽지 않도록 할 것이다.’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신규식(申圭植, 1880. 1. 13~1922. 9. 25)은 이 ‘한국혼’의 철학으로 목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소신에 찬 행동을 이어갔다.

을사늑약 체결 후 신규식은 대일항전을 계획했으나 뜻을 못 이루자 음독자살을 시도했다. 이때 오른쪽 눈 시신경이 망가져 시력을 상실해 흘겨보는 상이 됐다. 이에 그는 흘겨본다는 뜻으로 스스로 ‘예관(睨觀)’이라 불렀다.

1910년 경술국치 소식에 또다시 음독을 시도했다가 대종교 종사 나철(羅喆)에게 구명되고 그 이듬해 상하이로 망명했다. 그리고 쑨원(孫文) 등 중국 혁명가들과 친교를 맺고 중국 동맹회에 가입한 뒤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신해혁명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동제사(同濟社)를 조직, 1917년 독립운동단체의 단결과 통일을 주장한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2년 뒤 2·8 독립선언, 3·1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오세창은 ‘3·1운동은 예관에 의해 점화됐다’고 단언했으며, 당시 일본경찰 비밀정보에도 ‘…이 소요를 유발한 데에는 상하이 불령선인(不逞鮮人, 일본에 저항하는 한국인)들의 선동에 힘입었다’라고 쓰여 있다.

신규식은 중국에서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외교적인 노력을 펼쳤지만 임정 내 분열을 통탄하면서 불식(不食) 불언(不言) 불약(不藥)을 고집했다. 그러다 마지막 남은 숨을 호흡 단절법으로 끊고 이승을 버렸다. ‘정부… 정부….’ 단식 25일 만에 처음 나온 말은 그가 세상에 남긴 마지막 말이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속보 미중 “90일간 관세 일부 유예”…공동성명 발표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수방사 前부관 “尹, 이진우에게 ‘총 쏴서라도 들어가’라고 지시”
  • SKT, 12일부터 유심 재설정 도입…대리점 직접 방문해야
  • “대권 꿈 깨셨으면 집에 가세요”…경선 탈락 광역단체장 복귀에 지역 민심 ‘부글’ [이슈크래커]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삼성물산 vs 현대건설, '재건축 끝판왕' 압구정 2구역 쟁탈전 [정비사업 불꽃 수주전②]
  • 줄어든 식집사?…좋지만 번거로움에 멈춘 식물 키우기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62,000
    • -0.26%
    • 이더리움
    • 3,506,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577,500
    • +1.14%
    • 리플
    • 3,585
    • +8.37%
    • 솔라나
    • 244,900
    • +1.74%
    • 에이다
    • 1,156
    • +2.39%
    • 이오스
    • 1,241
    • -2.44%
    • 트론
    • 383
    • +3.23%
    • 스텔라루멘
    • 445
    • +3.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1.73%
    • 체인링크
    • 23,620
    • -0.59%
    • 샌드박스
    • 509
    • +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