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석] 현실 속 도깨비를 바라며

입력 2016-12-19 10: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알바 꼭 구해 주시고요, 이모네 식구 좀 어떻게 해 주시고, 남자친구 꼭 좀 주세요”라며 간절히 기도하는 소녀 앞에 한 남자가 나타났다. 자신을 도깨비라고 소개하는 이 남자와의 만남을 시작으로 소녀의 삶은 달라졌다.

tvN 드라마 ‘도깨비’의 내용이다. 시청률 10%를 기록하고, OST(오리지널사운드트랙)도 음원차트 상위에 오르는 등, ‘도깨비 열풍’이 심상치 않다. 김은숙 작가의 구성과 배우들의 탄탄한 연기, 연출력 등이 드라마의 흥행을 이끄는 힘이겠지만, 이 드라마가 관심을 받는 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현실에서도 ‘도깨비’를 원하기 때문은 아닐까.

극중 여주인공이 편하게 살 곳, 아르바이트, 연애를 바라고, 자신을 부당하게 괴롭히는 사람들에게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건 보통 사람들이 ‘행복하기 위해 원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인지 도깨비를 통해 여주인공이 원하던 것을 얻거나, 그녀를 부당하게 괴롭혔던 이들이 처벌받는 걸 보면 자연스럽게 감정이입이 된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 사람들과의 모임이 많아지는 때가 왔다. 20 ~ 30대 청년들이 모여 각자 사는 이야기를 하다 보면 연애와 결혼, 직장, 학업, 인간관계 등 저마다 어려운 이야기가 오고 간다.

비단 청년뿐만이 아니다.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겪으며 많은 사람들이 드라마 여주인공 못지않은 삶으로 드라마 같은 현실 속에서 살고 있을 것이다.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한다는 ‘N포 세대’, 개인의 노력보다는 물려받은 부에 따라 인간의 계급이 나뉜다는 ‘수저 계급론’, 우리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을 비유한 ‘헬조선’ 등의 단어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어려움을 대변하고 있다.

도깨비를 부르기 위해 간절히 기도하며 촛불을 부는 여주인공처럼, 많은 현대인들도 현실의 문제를 해결해 줄 도깨비를 원하고 있지 않을까.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이지만, 새해에는 현실 속에서도 드라마 못지않게 속 시원히 무언가를 해결해 줄 도깨비가 다들 하나쯤 있었으면 좋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시] 신세계 “이명희 총괄회장, 지분 10% 딸 정유경 회장에 증여”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11,000
    • -0.36%
    • 이더리움
    • 2,587,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27,500
    • -0.57%
    • 리플
    • 3,176
    • -2.84%
    • 솔라나
    • 211,100
    • -0.75%
    • 에이다
    • 986
    • -2.47%
    • 이오스
    • 982
    • -1.41%
    • 트론
    • 356
    • +0.85%
    • 스텔라루멘
    • 392
    • -2.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050
    • -2.13%
    • 체인링크
    • 20,590
    • -2.88%
    • 샌드박스
    • 427
    • -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