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아 나델라 MS CEO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AI 기술 개발이 MS 접근 방식”

입력 2017-01-18 17: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마이크로소프트가 접근하는 방식이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사진>는 18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제47차 세계경제포럼 2017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인공지능 기술의 민주화를 강조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포럼에 참석해 “세상의 모든 사람과 조직들이 보다 더 많이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목표와도 일맥상통한다”고 강조했다.

세계경제포럼 2017은 ‘소통과 책임의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국가 정상과 국제기구 대표를 비롯해 기업 최고경영자 3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 첫날부터 업계와 학계 리더들이 모여 인공지능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인공지능에 대해 “인지보다 앞선 지능으로 인류를 위협하는 것이 아닌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모든 사람의 삶을 ‘증강’ 시켜주는 도구”라고 강조했다. 그는 닛산이 자사의 자동차의 코타나를 접목한 것을 예로 들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세상 모든 사람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사티아 나델라 CEO는 로버트 스미스 비스타에퀴티파트너 회장 겸 CEO의 사회로 진행된 패널 토의에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패널 토의에는 사티아 나델라 CEO 외에도 이토 조이치 매사추세츠공대 미디어랩 소장, 지니 로메티 IBM 회장 겸 CEO, 론 구트만 헬스탭 설립자 겸 CEO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인공지능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생성해낸다”며 “이 때문에 인공지능이 도출해내는 결과를 누가 책임지느냐는 것은 현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또“인공지능의 발전은 데이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활용하는 데이터가 편파적이지 않도록 사람이 감독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인공지능의 도덕적인 발전에 있어 사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300,000
    • -0.38%
    • 이더리움
    • 2,536,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1.18%
    • 리플
    • 3,282
    • +1.74%
    • 솔라나
    • 210,800
    • -2%
    • 에이다
    • 996
    • -0.99%
    • 이오스
    • 993
    • +3.87%
    • 트론
    • 355
    • -1.11%
    • 스텔라루멘
    • 408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50
    • -4.87%
    • 체인링크
    • 21,020
    • +0.33%
    • 샌드박스
    • 429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