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경제다] 지만수 연구위원 “中 사드 맞대응 피해 키워...외교적으로 풀어야”

입력 2017-03-10 14: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일본과 위안부 소녀상 갈등 등이 겹치면서 대외경제 여건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대외경제 전문가인 지만수<사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외교 문제를 경제로 풀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최근 대외경제 여건 변화는 외교적 해결이 필요한 것으로 경제가 할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지 연구위원은 "다만 사드를 이미 배치하기로 하면서 오히려 불확실성이 없어졌다" 며 "이제는 정부가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한다기보다는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한·중 관계 전반까지 건드려도 좋다는 식으로 나오고 있다며 이 때문에 기업들의 상당한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 연구위원은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일본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1위였는데, 중국의 보복으로 현재 3위로 떨어졌다"며 "지금 우리나라가 공교롭게 시장점유율 1위인데 일본처럼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정부의 대응은 가만히 있는 게 낫다고 강조했다. 만약에 우리가 중국의 보복에 재보복 형태로 나가면 서로 피해를 키우는 행동으로 일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정부가 보복당한 기업들을 지원해 주기도 어렵다고 봤다.

지 연구위원은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불확실성이 많이 걷혔다고 분석했다. 환율 등으로 흔들면서 실제로는 기업 때리기라는 것이다.

지 연구위원은 지난 6일 피터 나바로 미국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 위원장이 LG와 삼성의 불공정 행위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사드에 묻혀서 그렇지 강하게 얘기한 것"이라며 "사기라고 심한 표현까지 쓴 것은 글로벌 룰을 무시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미국이 4월에 환율조작국으로 우리나라를 지정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에도 실익이 없다"며 "실제로는 미국 이익에 맞게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위안부 소녀상 등 한·일 갈등이 있지만 아베 총리의 관심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되살리거나 미·일 FTA에 준하는 합의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관세 유예’ 90일 뒤 또 연장?…트럼프 “그때 다시 생각할 것”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오후 5시 관저 떠난다…아크로비스타로 이동
  • [종합] 뉴욕증시, ‘중국산 관세 145% 정정’에 급락...나스닥 4.31%↓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 신안산선 터널 공사현장 붕괴 위험…호현삼거리~KTX광명역 도로 통제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09: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704,000
    • -3.05%
    • 이더리움
    • 2,250,000
    • -7.29%
    • 비트코인 캐시
    • 431,800
    • -3.05%
    • 리플
    • 2,905
    • -2.19%
    • 솔라나
    • 167,300
    • -3.24%
    • 에이다
    • 904
    • -1.53%
    • 이오스
    • 919
    • -11.12%
    • 트론
    • 349
    • -0.57%
    • 스텔라루멘
    • 342
    • -2.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880
    • -2.41%
    • 체인링크
    • 17,940
    • -2.55%
    • 샌드박스
    • 381
    • +1.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