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Fed)이 정책금리를 인상해 나가더라도 한국에서의 대규모 자본유출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투자자금 유출입 결정요인과 과거 대규모 자본유출 사례, 현재의 대내외 경제상황 등을 종합해볼 때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솽화는 자본유출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긴 하나 대규모 유출로 이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보는 “지금까지 연준은 점진적인 인상 기조를 이야기하고 있고 시장도 큰 충격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준이 신중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가정할 때 자본유출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2016년말 현재 전체 투자자금의 27% 수준인 외국인 채권투자자금도 최근 내외금리차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민간자금보다는 장기투자 성향인 공공자금이 크게 늘었고, 외국인 보유채권의 잔존만기도 장기화하고 있는 중이다.
또 최근 신흥시장국 경제 취약성이 과거 국제금융시장 불안시기에 비해 개선됐다는 평가다. 실제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신흥시장국 취약성 평가에 따르면 평가대상 13개국 중 8개국에서 대외 또는 금융 부문이 금년 들어 개선됐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외건전성 지표인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이 IIF의 매우양호 기준(3% 초과)을 상회하고 있어 과거 자본유출기 및 여타 신흥시장국과 비교할 때 양호했다.
아울러 2016년말 현재 3728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은 총외채 규모에 근접하고 있고, 단기 대외지급능력 비율도 172.8%를 기록해 2011년말 현재 113.9%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다만 일부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경우 그 전염효과로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유출 압력이 커질 가능성은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위험요인의 전개 상황을 점검하고 중기적으로는 국내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