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요 항공사, 당국 규제에 발목…세계 최악 연착으로 악명

입력 2017-05-02 12: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군부가 항공관제 시스템 운영권 갖고 있어

중국의 항공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음에도 당국의 규제 때문에 중국 항공사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항공 데이터 전문 업체인 OAG에 따르면 작년 중국 주요 3개 항공사인 에어차이나 중국동방항공 중국남방항공은 평균 3분의 1가량 정해진 시간보다 연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주요항공사 중 ‘지각 비행’ 1,2,3위를 중국 항공사가 싹쓸이했다. 중국민간항공국(CAAC)은 자국 항공사가 운행하는 비행편의 4분의 3 이상은 제시간에 맞춰 운행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CAAC도 지난 3년간 여객기를 대상으로 한 불만이 7배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CAAC는 세부 사항을 들여다보진 않았지만 연착이 불만의 주된 원인임을 의심하지 않는다고 인정했다.

중국은 비행기를 이용한 여행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새 공항 건설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항공관제 시스템 운영권의 4분의 3은 중국 군대가 통제하고 있어 민간 항공사들은 규제의 벽에 부딪히고 있다. 수십년 간 중국 항공산업이 성장했지만 군부가 영공을 통제하는 문제는 변하지 않고 있다. 이는 영공통제권을 민과 군이 유연하게 나눠 갖는 대부분의 나라와 대조적이다.

미국은 필요에 따라 군이 영공의 많은 부분을 쓸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영공은 항상 민간에 개방돼 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인도에서는 영공의 60%를 민간에게 개방했고, 정부는 더 많은 부분을 민간에 개방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존 그랜트 항공분석가는 “인도와 같은 개혁이 중국에서도 신속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항공사는 작년에 승객이 4억8800만 명에 달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중국 정부는 조만간 변화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리커창 총리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연례 업무보고에서 “영공 자원이 더 잘 배분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의 제인 선 최고경영자(CEO)는 “변화가 있기를 바라지만 중국 당국이 빨리 개혁을 추진할 것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한편 항공사들은 연착률을 줄이고자 시간 조율에 나섰다. 항공 컨설팅 전문 업체 아시아태평양항공센터(CAPA)의 윌 호튼 선임 애널리스트는 “2006년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가는 평균 비행시간은 2시간 1분이었는데 이제 2시간 18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정해 많은 항공사가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신라면·빼빼로·불닭까지...뉴욕은 지금 K푸드 앓이중[가보니(영상)]
  • 수험생 정시 입결 활용 시 “3개년 경쟁률·충원율 살펴보세요”
  • 트럼프, 2기 재무장관에 헤지펀드 CEO 베센트 지명
  • 송승헌ㆍ박지현, 밀실서 이뤄지는 파격 만남…영화 '히든페이스' [시네마천국]
  • 강원도의 맛과 멋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단단단 페스티벌' 外[주말N축제]
  • 野, 오늘 4차 주말집회…‘파란 옷, 깃발 금지' 먹힐까
  • '위해제품 속출' 해외직구…소비자 주의사항은?
  • “한국서 느끼는 유럽 정취” 롯데 초대형 크리스마스마켓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00,000
    • -1.24%
    • 이더리움
    • 4,641,000
    • -0.49%
    • 비트코인 캐시
    • 731,500
    • +7.26%
    • 리플
    • 2,127
    • +3%
    • 솔라나
    • 354,700
    • -1.94%
    • 에이다
    • 1,492
    • +17.3%
    • 이오스
    • 1,074
    • +8.59%
    • 트론
    • 298
    • +6.81%
    • 스텔라루멘
    • 611
    • +45.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850
    • +6.22%
    • 체인링크
    • 23,410
    • +9.49%
    • 샌드박스
    • 556
    • +1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