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SBS 개표 중 방송사고…"홍준표 당선 유력" vs "문재인 패배 인정"

입력 2017-05-10 14: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MBC 뉴스 캡처)
(출처=MBC 뉴스 캡처)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가운데, 이를 전달하던 MBC·SBS 개표 방송에서 방송 사고가 발생해 눈길을 끌고 있다.

9일 MBC는 지상파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된 직후인 오후 9시쯤 후보별 당선 확률을 전했다. MBC는 자체적으로 분석한 '이시각 당선확률'을 통해 문재인 후보의 당선 확률을 97%,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의 당선 확률을 1.6%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정작 '당선 유력' 타이틀을 홍 후보 쪽에 삽입해 눈길을 끌었다. 당시 화면은 캡처돼 온라인을 통해 순식간에 퍼졌고, 네티즌은 "내가 잘못 본 건가", "실수라고 하기에는 너무 치명적이다", "홍준표 후보를 두 번 죽이네"등의 반응을 보였다.

방송을 본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MBC측은 "할 말이 없다"라며 해당 자막 사고에 대한 해명을 하지 않았다. MBC는 다른 방송사들이 '당선 확정' 시점인 오전 3시까지 개표 방송을 내보낸 것과 달리, '당선 확실' 시점인 오전 1시 개표방송을 중단하고 드라마 재방송을 편성하며 논란을 가중시켰다.

(출처=SBS 뉴스 캡처)
(출처=SBS 뉴스 캡처)

SBS 역시 안철수 후보의 패배 인정 모습을 내보내며, "문재인 후보가 패배를 인정했다"라고 언급해 따가운 시선을 받았다.

안철수 후보는 출구조사 3위 발표 직후인 9일 오후 10시 30분께 국민의당 상황실에 도착해 사실상 패배를 인정한 입장을 밝혔다. 안 후보가 연설을 마친 뒤 퇴장하려는 순간 SBS 김성준 앵커는 "문재인 후보가 방금 패배를 인정하는 연설을 하고 당직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 앵커는 곧바로 실수를 인지하고 "죄송합니다. 안철수 후보가 패배를 인정했습니다"라고 정정했지만, 시청자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 뒤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가운데, YTN은 실시간 상황을 생중계하며 문 대통령을 '문재인 전 대통령'이라고 칭해 항의를 받기도 했다.

또한 문 대통령이 국회 취임식을 참석한 후 퇴장하는 모습을 전달하는 과정에서는 '퇴장'이 아닌 '퇴임'이라고 말해 다시 한 번 논란을 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대선 후 2차 추경 무게…재정부담 커질듯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 김병환 "3단계 DSR, 지방엔 차등 적용…MG손보 처리방안은 이달 중 발표"
  • 아파트값 격차 또 역대 최대…끝 안 보이는 양극화
  • 이정후, 22경기 만에 홈런 '쾅'…타율 0.312로 올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50,000
    • +1.74%
    • 이더리움
    • 2,593,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524,500
    • +2.04%
    • 리플
    • 3,027
    • +0.83%
    • 솔라나
    • 206,900
    • +0.24%
    • 에이다
    • 957
    • +1.59%
    • 이오스
    • 981
    • -1.6%
    • 트론
    • 347
    • -1.14%
    • 스텔라루멘
    • 370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650
    • -1.62%
    • 체인링크
    • 19,630
    • +1.66%
    • 샌드박스
    • 385
    • -1.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