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해외 직접투자액 왜 늘었나 봤더니...‘삼성, 하만 인수 효과’

입력 2017-05-19 10: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0.2% 증가…도소매 1094.7%, 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472.8% 급증

올해 1분기(1~3월) 해외직접투자 송금액이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넷마블게임즈 등 국내 기업의 활발한 해외업체 인수·합병(M&A)이 영향을 끼쳤다.

1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 1분기 해외직접투자 송금액은 107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82억3000만 달러) 대비 30.2% 증가한 규모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다.

최근 삼성전자는 미국의 전장기업인 하만을 80억 달러(약 9조3760억 원)에 인수한 바 있다. 국내 기업의 해외업체 M&A 사상 최대 규모다.

넷마블게임즈는 미국 모바일게임사 카밤의 밴쿠버스튜디오를 8억 달러(약 9548억 원)에 인수하면서 해외 송금액을 불렸다. 이에 1분기 신규법인 설립 등 그린필드형 투자는 전년보다 28.7% 감소한 반면, 기존 법인 지분 인수 등 M&A형 투자는 137.0% 급증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1094.7%),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472.8%),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62.7%)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제조업(-31.6%), 금융 및 보험업(-45.5%), 부동산업 및 임대업(-75.1%) 투자는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북미(126.1%) 지역은 3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인 반면 그 외 지역 투자는 줄었다. 아시아(-8.8%) 지역의 투자 하락은 제조업 투자 감소(-21.1%), 중남미(-45.9%) 지역의 투자 하락은 금융·보험업 투자 감소(-63.8%)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최대 투자대상국인 미국(142.8%)으로의 도매 및 소매업(4470.6%)과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776.9%)에 대한 투자 증가는 1분기 전체 해외직접 투자 증가를 이끌었다. 베트남(4.0%)은 제조업, 싱가포르(50.6%)는 부동산 및 임대업 투자 증가로 투자액이 늘었다.

반면 중국(-18.6%)은 제조업(-39.8%), 케이만군도(-57.3%)는 금융·보험업(-64.0%) 투자 감소로 투자액이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LG전자와 현대차의 대미 투자 확대 계획, 기아차의 인도 완성차공장 건설 계획 등을 감안하면 올해 전체 해외 직접 투자 규모는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26,000
    • -0.1%
    • 이더리움
    • 2,680,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451,900
    • +0.13%
    • 리플
    • 3,065
    • +1.42%
    • 솔라나
    • 174,500
    • -0.17%
    • 에이다
    • 966
    • +0.42%
    • 이오스
    • 1,191
    • +2.06%
    • 트론
    • 351
    • +1.74%
    • 스텔라루멘
    • 386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990
    • +0.25%
    • 체인링크
    • 19,180
    • -0.16%
    • 샌드박스
    • 388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